마곡사 응진전

마곡사 응진전

[ 麻谷寺 應眞殿 ]

요약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마곡사에 있는 불전.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마곡사 응진전

마곡사 응진전

지정종목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84년 5월 17일
관리단체 마곡사
소재지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 (운암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아라한전(阿羅漢殿)이라고도 하며, 1852년(조선 철종 3)에 중수하였다.

응진전이란 석가모니의 제자인 아라한을 모신 전각을 말한다. 태화산(泰華山) 남쪽 기슭에 있는 사찰 마곡사의 응진전에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하고 있는 석가모니불을 주불(主佛)로 하고 아난(阿難)과 가섭(迦葉)을 협시불로 모시고 있다.

그 주위에는 십육나한상(十六羅漢像)을, 끝에는 법천(法天)과 제석천(帝釋天)을 함께 모셨다. 십육나한은 수행을 완성하여 성자의 지위에 오른 존재로, 중생에게 복을 주고 바른 법으로 인도하는 불제자를 말한다.

건물은 낮은 자연석 기단 위에 자연석 주춧돌을 사용한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계 팔작지붕 집이다. 처마의 하중을 받고 장식도 겸하도록 나무쪽을 짜맞춘 도구를 추녀 밑에 여러 개 배치하였다. 내부 바닥은 우물마루를 깔았으며, 건물 전면만 창호를 달아 출입하도록 하고 나머지 삼면은 회사벽(灰沙壁)으로 마감하였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마곡사 응진전 공주 마곡사에 있는 불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충남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의 마곡사에 있는 불전으로 처음 지어진 때는 알 수 없으며 1852년(철종3)에 중수하였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아라한전(阿羅漢殿)이라고도 불리운다.  응진전이란 중생에게 복을 주고 바른 법으로 인도하면서 수행을 완성하여 성자의 지위에 오른 석가모니의 제자 16나한을 모신 전각이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계 팔작지붕집이다. 응진전에는 석가모니불을 주불로 아난과 가섭을 협시불로 모셨으며 그 주위에는 16나한상, 양 끝에는 법천(法天)과 제석천(帝釋天)이 있다. 건물 전면은 창호를 달았고 나머지 삼면은 회사벽으로 마무리하였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