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 숭덕사

서산 숭덕사

[ 瑞山 崇德祠 ]

요약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강당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재실(齋室). 1996년 11월 30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서산 숭덕사

서산 숭덕사

지정종목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96년 11월 30일
관리단체 전주이씨종친회
소재지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숭덕사1길 49 (강당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인물기념 / 사우

1996년 11월 30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조선 태조의 넷째아들인 회안대군(懷安大君:?∼1421)의 위패를 모신 재실이다. 정면 3칸, 측면 1칸의 일자형(一字形) 건물이며 남향이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서산 숭덕사 태조의 아들 회안대군의 사당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52호 회안대군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넷째 아들로 이름은 이방간이며 서산 숭덕사는 그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는 사당이다. 태조 1년(1392)에 회안군으로 봉해졌으며 태종 1년(1401)에 회안대군이 되었다. 2차 왕자의 난이 실패하자 토산으로 유배되었다. 세종 1년(1419)까지 천수를 누리다가 홍주에서 죽었으며 1607년(선조 40)에 서산 부석면에 사당을 짓고 숭덕사라고 불렀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