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 임득의 장군 묘

홍성 임득의 장군 묘

[ 洪城 林得義 將軍 墓 ]

요약 충청남도 홍성군에 있는 조선시대 묘(墓). 1995년 10월 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홍성 임득의장군 묘

홍성 임득의장군 묘

지정종목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95년 10월 7일
소재지 충청남도 홍성군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기타

1995년 10월 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1596년(선조 29) 임진왜란 이후의 혼란한 상황을 틈타 왕실의 종친 이몽학이 난을 일으켜 청양, 대흥 등을 함락하고 홍주성을 침범했을 당시 홍주목사 홍가신(洪可臣)을 도와 반군을 소탕하는 데 공을 세운 무신 임득의(林得義)가 묻혀 있다.

묘 앞에는 그가 세상을 떠난 304년 후 지산 김복한이 지은 신도비가 있다. 그를 포함한 박명현(朴名賢), 최호(崔湖), 홍가신, 신경행(辛景行) 5인을 일컬어 청난공신(淸難功臣)이라 하였는데, 백월산 정상부에 이들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 있어 매년 제사를 지낸다.

역참조항목

청룡산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홍성 임득의장군묘 조선 중기 무신 임득의장군의 묘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40호  임득의장군은 1596년(선조 29) 임진왜란 이후의 혼란한 상황을 틈타 왕실의 종친 이몽학이 반란을 일으키자 이를 진압하여  청난공신으로 봉해졌다. 당시 홍주목사 홍가신과 함께 반란군을 진압했으며 충청수우후를 거쳐 광해군이 즉위하자 경상우도 병마절도사가 되었다. 묘소는 청룡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근에 장군의 공덕과 업적을 기록 한 신도비와 사당인 정충사가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