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경찰서 망루

보령경찰서 망루

[ 保寧警察署 望樓 ]

요약 충청남도 보령시 대천동 보령경찰서 내에 있는 망루. 1985년 7월 19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보령경찰서 망루

보령경찰서 망루

지정종목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85년 7월 19일
관리단체 대천경찰서
소재지 충청남도 보령시 대천로 33 (대천동)
시대 대한민국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근대정치국방 / 기타
크기 높이 10m, 둘레 15∼30m, 두께 1.5m

1985년 7월 19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망루의 높이는 10m이고 둘레는 최고 30m에서 최저 15m이며 두께는 1.5m이다.

6·25전쟁 중 1950년 9월 28일 서울 수복 후 성주산(聖住山) 주변 일대에 남아 있던 공산당을 토벌하기 위하여 1951년에 건립한 망루(望樓)이다. 자연석에 시멘트를 섞어 찰쌓기 방식으로 축조하였으며 지붕은 팔각(八角)이다.

망루 안에는 목조 계단이 4층으로 되어 있고 안에서 밖으로 사격할 수 있는 총구(銃口)가 모두 22개 시설되어 있다. 내부에는 약 3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다.

최근까지 정오와 자정을 알리거나 통행금지, 화재 및 비상시에 사이렌을 울리던 시설물로 사용되었다.

참조항목

망루, 보령시

역참조항목

대천동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보령경찰서 망루 한국전쟁 당시 경계용으로 설치한 망루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72호 한국전쟁 당시 서울수북으로 남쪽에 남은 공산군들이 보령시 성주산 일대에서 출몰하자 경찰서 경계를 위해 설치한 망루이다.  자연석에 시멘트를 섞어 쌓아올렸으며 규모는 높이 10m, 둘레15m이고 내부에서 바깥으로 사격을 할 수 있도록 총안 22개가 설치되어 있다. 내부는 4층으로 이루어져 층마다 마루를 깔았고 계단을 통해 꼭대기에 오를 수 있다. 지붕은 8각 지붕이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