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덕사 천불전

광덕사 천불전

[ 廣德寺 千佛殿 ]

요약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리 광덕사에 있는 신라시대의 사찰 건축물.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광덕사 천불전

광덕사 천불전

지정종목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84년 5월 17일
관리단체 광덕사
소재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사길 30 (광덕리)
시대 신라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광덕산 남쪽 기슭에 있는 광덕사 안의 당우이다. 광덕사는 652년 자장(慈藏)이 창건하였고 그후 진산(珍山)이 중건하였는데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모두 불타 버리고 대웅전과 천불전만 중건되어 큰 절의 명맥을 유지하였다.

천불전은 3층건물로 1975년에 완전 해체하여 새로 세운 것이고, 1981년 대웅전과 함께 증축되었다. 전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에 다포식 공포이며, 기둥은 큰 화강암 주춧돌에 기둥 밑에 맞게 원형으로 돌기를 만들었다.

전내에는 3천불을 모셨는데 목조로 된 본존은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로 지권인(智拳印)을 하였고, 부처의 제자인 가섭과 아난존자를 협시로 모신 점과 왼손가락 끝으로 오른손가락을 덮어 누르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삼천불직조금화탱삼좌(三千佛織造錦畵撑三座)는 삼존의 뒤에 각각 한 폭씩(천불) 모두 3개의 탱화를 걸어 모시고 있다. 광덕사 《사적기》가 만들어진 1680년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1998년 12월 29일 원인미상의 화재로 건물이 전소되었다.
 

참조항목

광덕면, 광덕사, 사찰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관련동영상

광덕사 천불전 천안시 광덕산에 남쪽에 있는 불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47호 천불전은 천개의 불상을 모신 불전으로 누구든지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면 부처가 될 수 있다는 대승불교의 사상을 담고 있는 불전이다. 광덕사의 천불전은 신라시대인 643년에 자장율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며 임진왜란과 1998년에 두차례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2006년에 다시 복원한 것이다. 천불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규모이며 다포계에 팔작지붕을 올려 웅장한 모습을 갖추고 있다. 내부에는 비로자나불과 좌우에는 석가모니의 제자인 가섭과 아난이 협시불로 설치되어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