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락사 삼층석탑

일락사 삼층석탑

[ 日樂寺 三層石塔 ]

요약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일락사에 있는 석탑.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일락사 삼층석탑

일락사 삼층석탑

지정종목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84년 5월 17일
관리단체 일락사
소재지 충청남도 서산시 일락골길 501 (해미면, 일락사)
시대 고려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조성 기법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대적광전 앞에 자리하고 있다. 

기단부는 2단이며, 아래층 기단은 땅 속에 묻혀 있고 갑석만이 지대석처럼 땅 위에 드러나 있다. 2층 기단의 면석에 모서리 기둥을 새겼으며, 그 위의 갑석은 처마를 길게 빼고 비탈진 정도를 완만하게 하였는데 두 모서리가 크게 훼손되었다.

1층 탑신부는 위층의 기단과 크기가 거의 같으며, 2층 탑신부부터 폭에 비해 높이가 줄어드는 수법을 사용하였다. 3층의 옥신석은 사라졌고, 상륜부도 노반(露盤:탑의 지붕 꼭대기에 장식으로 설치하는 보륜을 받는 것)만 남은 상태인데 원래의 보륜(탑의 꼭대기에 있는 장식)과 보개가 있던 자리에 돌 1개를 얹어놓은 것 같다.

일락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수덕사(修德寺)의 말사로, 사찰에 전하는 사기(寺記)와 1970년대 이후에 간행된 각종 서산군지와 해미읍지 및 《사찰현황실태조사서》에 따르면 663년(문무왕 3) 5월에 의현(義賢)이 창건하였고, 1487년(성종 18)에 중수하였다. 이후 1530년(중종 25)에 중수하였고, 1649년(인조 27)에 서산 해미읍성(사적) 객사 중수시 함께 보수하였다고 한다.

또한 일제강점기 초기에 크게 중수하였다는 사실을 입증해주는 자료가 있는데, 그것은 일락사 대웅전(충남문화재자료) 안에 봉안되어 있는, 1919년에 그려진 신장(神將)·칠성·산신·독성(獨聖)탱화 등이다.

역참조항목

일락사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일락사 삼층석탑 서산시 일락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00호 충남 서산시 해미면의 사찰 일락사에 있는 고려시대 삼층석탑으로 1992년 신축한 대적광전 앞에 위치하고 있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으로 조성된 석탑이다. 기단부는 원래 2단인데 아래층 기단은 땅속에 묻혀있고 갑석만 땅 위에 드러나 있는 형태로 세워져 있다. 2층 기단 면석에는 모서리에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다. 탑신부의 1층 몸돌은 2층 기단과 크기가 거의 같고 2층 몸돌부터는 높이가 현격히 줄어들어 있으며 3층 몸돌은 사라지고 없다. 상륜부는 노반 위에 돌 1개가 얹혀져있다.   기단 2층 갑석 일부가 부셔져있고 탑신의 3층 몸돌이 없어지는 등 보존상태가 좋지는 않지만 원래 모습은 단아함을 지니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석탑이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