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성향교

석성향교

[ 石城鄕校 ]

요약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석성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 1997년 12월 23일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석성향교

석성향교

지정종목 충청남도 기념물
지정일 1997년 12월 23일
관리단체 석성향교
소재지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석성리 646-2번지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크기 면적 3,260㎡

1997년 12월 23일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향교는 문묘와 어진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유학(儒學)을 가르쳐 인재를 양성하는 조선시대의 지방교육기관이었다. 1623년(인조 1) 세웠으며 1753년과 1808년에 중수하였다.

건물로는 대성전을 비롯하여 명륜당, 내외삼문(內外三門), 동재(東齋), 수직사(守稙祠) 등이 있다. 학문을 연구하는 명륜당이 앞에 있고 묘당인 대성전이 뒤에 있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를 이루고 있다.

참조항목

석성면

역참조항목

석성리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석성향교 조선시대 지방 교육기관 충청남도 기념물 제126호 석성향교는 고려시대 창건되었다가 조선시대 때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것을 1636년(인조 14), 1753년(영조 29), 1808년(순조 8)에 재건하였다. 향교로 진입하는 입구에 홍살문이 세워져 있으며 정문인 외삼문을 지지면 명륜당, 동재, 내삼문, 대성전이 있다.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석성리에 위치하며 고대 중국 유교의 성인과 동국18현인의 위패를 모시고 있으며 전학후묘의 배치를 이루고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