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부원군 신도비

연평부원군 신도비

[ 延平府院君 神道碑 ]

요약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만수리에 있는 조선시대 석비. 1979년 12월 19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연평부원군신도비

연평부원군신도비

지정종목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79년 12월 19일
소재지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상하만길 17-34 (만수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크기 전체 높이 335cm

1979년 12월 19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 인조반정의 공신인 연평부원군 이귀(李貴 : 1557~1633)의 신도비이며 비의 전체 높이는 335cm이다.

이귀의 자는 옥여(玉汝), 호는 묵재(默齋)이고 시호는 충정(忠定)이다.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의 문하생이며 임진왜란 때 삼도소모관(三道召募官)과 종사관으로 활동하며 군인을 모집하고 군량을 비축하였다.

1623년에(인조 1) 김류, 이괄 등과 함께 광해군을 몰아내고 인조(능양군)를 왕위에 오르게 하고 이조참판 겸 의금부동지사, 좌찬성이 되었으며 정사공신(靖社功臣) 1등으로 연평부원군에 봉해졌다. 1627년에 후금(後金)의 침입으로 정묘호란이 일어났을 때 최명길(崔鳴吉)과 함께 화의를 주장하다가 대간의 탄핵을 받았다.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인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비신과 이수는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는데 비석의 받침돌인 귀부(龜跌)는 조각도 조잡하고 자라 모양을 하고 있으나 용과 구름을 조각한 이수는 사실적이고 생동감있게 표현하였다. 조익(趙翼 : 1579~1655)이 비문을 짓고 오준(吳竣 : 1587~1666)이 글씨를 썼다.

참조항목

이귀, 이인면

역참조항목

이귀묘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연평부원군 신도비 공주시에 있는 조선시대 신도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충남 공주시 이인면 만수리에 있는 조선시대 석비로, 조선시대 광해군을 몰아내는 인조반정 때 공을 세웠던 연평부원군 이귀(李貴)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신도비이다. 신도비는 전체 높이 335cm 크기로 비신과 이수가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다. 비석의 받침돌인 귀부(龜跌)는 머리를 수평으로 내밀고 있으며, 용과 구름을 조각한 이수는 사실적이고 생동감있게 표현하였다.  연평부원군 이귀는 이이, 성혼의 문하생이었으며 임진왜란 때는 군인을 모집하고 군량을 비축하는 등 힘을 썼으며 인조반정 때는 공로를 인정받아 일등공신으로 추대되고 연평부원군에 봉해진 인물이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