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정사 문루

포정사 문루

[ 布政司 門樓 ]

요약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동에 있는 조선시대 문루(門樓). 1980년 12월 29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포정사 문루

포정사 문루

지정종목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80년 12월 29일
관리단체 공주시
소재지 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 30-8 (웅진동)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1980년 12월 29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포정사는 조선시대 충청감영의 정문이다. 공주군청 옆으로 이건되어 교회건물 등으로 쓰이면서 내부가 많이 변형되었으나 외형은 비교적 그대로 남아 있다. 삼문(三門) 역시 한때는 양 협칸(夾間)이 민가로 쓰이다가 1993년 포정사와 함께 본래의 자리에 복원되었다. 조선 말기 관아건축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포정사는 문루(門樓)의 일반적 형태인 우진각형 지붕모양을 제외하면 건물구조가 일반 문루건축과 많이 구별된다. 2층은 정면 5칸 측면 2칸으로 사방을 개방하여 평소에는 마루로 사용하고, 전시에는 장군의 지휘소로 이용되었다. 난간은 계자난간이며 서쪽으로 오르내리는 계단이 설치되었다.

2익공계(二翼工系) 건물로, 창방(昌枋)으로 결구된 기둥 사이에 운공(雲工)이 끼워진 장화반(長花盤)을 중앙에 4구, 나머지 구간에는 3구씩 배치하여 주심도리의 장여를 받쳤다. 앞뒤 평주(平柱) 위에 걸친 대들보 양편에 동자기둥을 세워 종량을 받치도록 한 2중량(重樑) 5가연(架緣)구조이다. 삼문(三門)은 솟을지붕에 공포가 없는 민도리집 계통으로, 대량 위에 사다리꼴 대공을 얹어 종도리를 받치도록 하였다.

참조항목

공주시, 한식주택

역참조항목

웅진동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관련동영상

포정사 문루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동에 있는 조선시대 문루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포정사 문루는 조선시대 충청감영의 정문으로 사용된 건축물이다. 공주군청 옆으로 이건되어 교회건물 등으로 쓰이면서 내부가 많이 변형되었으나 외형은 비교적 그대로 남아 있다. 1993년 포정사와 함께 본래의 자리에 복원되어 옛모습을 되찾았다. 포정사는 조선시대 문루의 일반적 형태인 우진각형 지붕이며 2층은 정면 5칸 측면 2칸으로 사방을 개방하였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