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 성황리 삼층석탑

광양 성황리 삼층석탑

[ 光陽 城隍里 三層石塔 ]

요약 전라남도 광양시 성황동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 1972년 1월 29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광양 성황리 삼층석탑

광양 성황리 삼층석탑

지정종목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72년 1월 29일
관리단체 광양시
소재지 전라남도 광양시 성황동 746번지
시대 고려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크기 전체높이 3.5m

1972년 1월 29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야산 평지에 자리잡고 있으며, 의 전체높이는 3.5m이다.

화강암을 재료로 하여 지대석과 하층기단 중석을 각각 다른 돌로 하여 판석 4장으로 짰다. 사면에는 우주(隅柱)와 중앙에 탱주가 있는데, 특이하게 상면으로 상층 기부를 받기 위한 몰딩을 생략하였다. 상층기단부 역시 순박한 판석 4장으로 결구하였으며, 각 면에 사우주와 중앙에 희미한 탱주를 모각하였고, 다른 조출이 없다.

기단부 갑석은 두꺼운 편이며 기법이 세련되지 않아 평박하게 보이는 한편, 하면은 부연(副椽)이 퇴화된 채 수평을 이룬다. 상면은 경사가 심하고 초층 탑신(塔身) 부분의 중앙쪽에 이르러서는 몰딩을 가볍게 하여 탑신을 받고 있다.

탑신부는 옥개석과 옥신을 각각 한 개의 돌로 하였고, 각 층 탑신에는 사우주형을 보였다. 2층 옥개석부터는 체멸되어 균형을 잃지 않았으며, 옥신 받침은 각 층마다 3단으로 되어 있으나 지극히 형식화하였다. 낙수면은 비교적 경쾌하게 곡선을 이루다가 전각에 이르러 가벼운 반전을 나타냈다. 상륜부는 노반이 있고 그 위로 부발 보주를 얹어 놓았다.

이중 기단의 통식을 따랐으나 조법이 섬세하지 못하며 일부 양식에서 퇴화된 점으로 보아 고려 말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에 석탑이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부터 절이 있었던 것이 틀림없지만, 이 절터에 대한 기록이 없어 확인할 수 없다. 한때 기단부가 파손되었으나 1976년 완전 보수하였다.

참조항목

석탑, 광양시

역참조항목

성황동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