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도선국사 직인통

전 도선국사 직인통

[ 傳 道詵國師 職印筒 ]

요약 통일신라시대 승려 도선이 사용하였다는 직인통. 1972년 1월 29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지정종목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72년 1월 29일
관리단체 선암사
소재지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길 450 (죽학리)
시대 고려시대
종류/분류 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생활용구
크기 3개, 높이 15∼17cm, 밑부분 지름 16∼19cm

1972년 1월 29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길 450 선암사에 소장되어 있다. 통일신라 말기 도선국사가 사용하였다고 하나 문헌이나 기타 근거는 없다. 나무로 만들었으며 3개 모두 위에 뚜껑을 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높이는 15∼17cm, 밑부분 지름은 16∼19cm이다.

하나는 팔각으로 맨 꼭대기에 꼭지가 달려 있으며 전면에는 길게 장석을 달아 자물쇠 장치를 부착하였고, 그 양편으로는 고리를 상하로 2개씩 달아놓았다. 통 밑에는 철제로 띠를 돌려 단단하게 묶었으며 중앙의 개폐 부분에도 철제띠를 돌렸다. 상단에는 통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고 각종 장석과 꼭지 부분에도 꽃무늬로 장식하였다.

다른 하나는 가죽이 한 겹 입혀졌고 나머지는 낡아 벗겨지고 없으며, 가죽은 고래 가죽이다. 직인통 안에 “도선국사직인통무신일천이백이십칠년”이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 연대는 742년(경덕왕 1)으로 도선의 생몰 연대와는 동떨어진다.

기록은 창호지에 쓴 것으로 선암사에서는 1946년에 입적한 이월영이 쓴 것이라 전한다. 제작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작품의 기법 또는 각종 철제장석 등으로 보아 도선의 생존연대(827∼898)의 것으로 보기 어렵고, 그보다 뒤인 고려 후기 작품으로 보인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