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흥사 대광명전

대흥사 대광명전

[ 大興寺 大光明殿 ]

요약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대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물. 1982년 10월 15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대흥사 대광명전

대흥사 대광명전

지정종목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82년 10월 15일
관리단체 대흥사
소재지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구림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1982년 10월 15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대흥사는 해남읍에서 동쪽 12㎞ 지점 두륜산 북쪽 산기슭에 자리잡고 있다.

대광명전은 조선시대인 1841년(헌종 7) 초의선사(草衣禪師)가 건립한 것이다.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로 단층이며 익공양식을 가진 맞배지붕의 단아한 건물이다. 기단은 2단의 장대석쌓기를 하였는데 정면과 좌측면만 다듬은 화강석 1벌대로 축조하고 우측면과 배면은 자연석으로 축조되어 있다. 좌우 측면과 배면은 하방벽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부는 기와편으로 5단 정도 쌓고 하부는 자연석으로 7∼8단 쌓았는데 하부로 갈수록 돌크기가 크게 놓여져 있으며 하부는 파손되어 있다. 그 위로 정평주초를 놓았고 주초 위에 민흘림이 뚜렷한 원주를 세웠다. 1출목 이익공으로 주3포형식의 주심포계 건물이며 굴도리 5량집이다. 처마는 겹처마로 되어 있다.

이 건물에서 특히 주목되는 부분은 자연스럽게 중앙 부분이 위로 굽은 대들보 2개로 그 형상이 자연스러우면서도 특이하다. 외부 포작의 수법은 초익공이며 기둥 사이의 중앙에 있는 화반과 창방, 그리고 장혀와 굴도리에 연꽃과 운학 등의 무늬를 정교하게 새겼다. 창호는 전면의 가운데 칸에는 솟을빗살무늬의 삼분합문을 달았고 좌우협칸에는 이분합의 솟을빗살문으로 정교하게 새겼다. 옆면 벽의 하부에는 방화장(防火墻)을 설치하였다. 건물 안에는 비로자나불을 봉안하였고, 천장은 중앙부 불단이 있는 위에만 우물천장을 높게 달고 연꽃무늬와 운학무늬를 넣었다. 그밖의 부분은 널반자로 하고 전후 변주 쪽에는 빗반자로 되어 있다. 내부바닥은 우물마루로 되어 있다. 대광명전을 수리할 때 발견된 ‘도광이십년 신축(道光二十年 辛丑)’이라는 상량문을 볼 때 단청과 벽화도 초의선사의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