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은종택

대은종택

[ 臺隱宗宅 ]

요약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에 있는 옛 가옥. 1993년 11월 30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대은종택

대은종택

지정종목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93년 11월 30일
소재지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581번지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1993년 11월 30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조선 중기 유학자 대은(臺隱) 권경(權璟:1604~1666)이 1660년대에 건립하여 1889년에 중건하였고, 1978년에 다시 중수하였다. 원래 건축 당시에는 정침과 정면 3칸, 측면 1칸 반의 사당으로 이루어졌으나 사당은 낡아 철거되고 주춧돌만 남아 있다.

정침은 정면 5칸 측면 6칸의 ㅁ자집 형태로 처마는 홑처마이고,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왼쪽에 사랑마루 1칸이 툭 뛰어나와 있다. 안채의 대청은 정면 2칸 측면 2칸으로 마루는 우물마루인데, 고임대가 없다. 왼쪽에 사랑방과 마루도장이, 오른쪽에 도장방과 안방이 있다.

사랑채는 중문의 왼쪽에 있고, 사랑방·사랑웃방·사랑마루가 평면으로 연결되었다. 전면에 툇간이 있고, 툇간 전면에 헌함(軒檻)을 둘렀다. 5량 가구(架構)이며, 기둥의 맨 윗부분은 보아지로 툇보를 받치게 하였다. 지붕은 팔작지붕이며 정면에 '醉翁世廬', 사랑마루 앞에는 '臺隱軒'이라고 적힌 편액이 있다.

대은종택 바로 오른쪽에는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영덕 번호댁이 있는데 권경의 셋째 아들이 지은 집이다.

참조항목

영해면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