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곡사지 원광법사 부도탑

금곡사지 원광법사 부도탑

[ Stupa of Wongwangbeopsa in Geumgoksa Site , 金谷寺址 圓光法師 浮屠塔 ]

요약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두류리에 있는 신라시대의 승탑. 1985년 8월 5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금곡사지 원광법사 부도탑

금곡사지 원광법사 부도탑

지정종목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85년 8월 5일
관리단체 경주시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두류리 9-1번지
시대 신라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1985년 8월 5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신라 진평왕 때의 고승 원광(圓光)의 승탑이다. 630년(진평왕 52)에 황룡사(皇龍寺)에서 입적한 원광법사를 명활산(明活山)에 장사지내고 금곡사(金谷寺)에 세운 것이다.

금곡사는 원광이 30세 되던 해, 평소 수도생활을 하던 경주 안강의 삼기산(三岐山) 아래에 창건한 절인데 임진왜란 때 소실되고 지금은 절터만 남아 있다. 현재의 탑은 당시에 도괴된 것을 복원한 것이다.

승탑은 하층 기단에 있는 사각형의 문비(門扉) 안을 아치형으로 파고 그 안에 좌불상을 양각한 탑신을 놓고 그 위로 옥개석(屋蓋石:지붕돌) 2개만 놓았다. 상층 옥개석 윗면에는 노반(露盤)이 남아 있다.

원광은 속성(俗姓)이 박씨이며 13세에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다. 화랑도의 생활신조가 된 세속오계(世俗五戒)를 제정했으며 불교사상뿐 아니라 문장에도 능했다. 또한 대승불교를 깊이 연구하고 그것을 신라에서 강의한 최초의 학승이었고, 불교의 토착화에 크게 공헌했다.

참조항목

승탑

역참조항목

안강읍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금곡사지 원광법사 부도탑 신라 원광법사의 사리를 모신 탑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97호 경주시 안강읍 두류리에 있는 신라시대 때 만들어진 부도탑으로 신라 진평왕 때의 승려 원광법사의 사리가 모셔져 있다. 부도탑은 1층 몸돌과 3층 지붕돌만 남아 있었던 것을 3층 석탑으로 복원하였다. 널다란 바닥돌 위에 1층 기단이 올려져있고 그 위에 3층의 탑신이 있는 구조이다. 탑신의 1층 몸돌 4면에는 문 모양의 무늬가 새겨져 있으며 그 안을 파내어 불상을 새겨 넣었다. 지붕돌은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고 윗면은 경사가 완만하다. 원광법사는 화랑도 세속오계를 제정한 인물이며 글을 쓰는 문장도 뛰어나서 진평왕의 명에 따라 고구려를 치기 위해 수나라 군사를 청하는 글《걸사표》를 보낸 기록이 전해진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