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육사 생가

이육사 생가

[ 李陸史 生家 ]

요약 경상북도 안동시 태화동에 있는 이육사의 생가. 1973년 8월 31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이육사 생가

이육사 생가

지정종목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지정일 1973년 8월 31일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포도길 8 (태화동)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1973년 8월 31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일제강점기의 독립투사이며 애국시인 이육사의 생가로, 건축연대는 확실하지 않다. 정면 4칸, 측면 1칸으로 구성된 홑처마 3량가(三樑架)의 一자집이며, 안채는 맞배지붕, 사랑채는 팔작지붕이다. 안채와 사랑채의 칸수와 칸 사이가 모두 같고, 방과 마루·부엌 등이 똑같은 공간에서 대칭을 이루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대문은 내당과 외당의 동편 끝에 판벽을 늘어세우고 한가운데 문주를 세워 기와를 이었다. 대문 맞은편인 서쪽 끝에도 내당과 외당을 잇는 판벽이 있고 일각문이 있었는데, 이렇게 앞뒤 一자집만으로 평행 배치하고 양쪽에 맞뚫리는 문이 있는 집은 이 지역에서는 보기 드문 형태이다.

원래 안동군 도산면에 있던 것을 1976년 4월 안동댐 수몰로 인해 지금의 위치로 옮겼는데, 안동 시내로 옮겨진 후에는 한쪽 일각문 자리에 대문이 서고 원래의 대문 자리는 이웃집 돌담이어서 담장도 대문도 없게 되었다. 후손인 이원종이 관리를 맡고 있다. 옛 집터에는 1993년에 청포도를 새긴 시비(詩碑)가 건립되었다.

참조항목

이육사, 태화동

역참조항목

이육사문학관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