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이씨영정

성주이씨영정

[ 星州李氏影幀 ]

요약 성주이씨 대종회가 소장하고 있는 성주이씨 조상 10인의 영정. 1989년 5월 29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지정종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89년 5월 29일
소재지 경상북도 성주군
시대 미상
종류/분류 유물 / 일반회화 / 인물화 / 초상화

성주이씨의 조상들로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인 13세기부터 15세기까지의 인물들인 이장경(李長庚), 이조년(李兆年), 이승경(李承慶), 이포(李褒), 이원구(李元具), 이직(李稷), 이제(李濟), 이사후(李師厚), 이욱(李彧), 이숭인(李崇仁) 등 10인의 영정이다. 대부분 공신도상(功臣圖像)의 형식을 하고 있으며, 이승경과 이제, 이사후 3인의 영정은 2점씩 전해져 모두 13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성주이씨 대종회가 소장하고 있으며, 1989년 5월 29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성주이씨 영정은 1581년(선조 14) 직계 후손들이 보존하고 있던 영정들을 모아서 지금의 성주군 벽진면 자산리에 영당(影堂)을 만들어 봉안한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전해진다. 처음에는 22점의 영정이 있었으나 임진왜란을 거치며 이백년(李百年), 이천년(李千年), 이만년(李萬年), 이억년(李億年), 이인기(李麟起), 이인복(李仁復), 이인임(李仁任), 이조(李晁) 등의 영정은 산실되었다. 지금은 조선 후기인 1714년(숙종 40)과 1746년(영조 22), 1825년(순조 25) 등에 새로 그려진 개모본(改摹本), 중모본(重摹本)이 전해진다. 이장경, 이조년, 이포, 이숭인, 이직, 이사후, 이인민(李仁敏) 등 7인의 영정은 1763년 고흥 성산사(星山祠)로 옮겨져 봉안되어 이모본(移摹本)이 따로 존재한다.

현재 원본은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옥화리의 오현재(梧峴齋)에 소장되어 있으며, 벽진면 자산리의 안산영당(安山影堂)에도 사본이 새로 만들어져 봉안되어 있다.

참조항목

대가면, 성주군

카테고리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