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 수성리 중매댁

성주 수성리 중매댁

[ 星州 水成里 中梅宅 ]

요약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수성리에 있는 한말의 가옥. 1989년 5월 29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성주 수성리 중매댁

성주 수성리 중매댁

지정종목 시도민속문화유산
지정일 1989년 5월 29일
소재지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한강길 29 (수성리)
시대 대한제국기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1989년 5월 29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정발(鄭渤)이 소유, 관리하며 정발의 조부 정재철(鄭在哲)이 건축하였다. 안채, 사랑채, 대문채, 고방채, 중문간 등 5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강암으로 2m 높이의 축대를 쌓고 그 위에 건립한 독특한 양식의 건물이다.

대문간, 고방채, 중문간에 기록된 상량문으로 미루어 보아 안채, 사랑채, 대문채는 1903년에 함께 건축되었으며 안대문채는 1915년에 보설(補設)된 것으로 보인다. 이 가옥은 전통적인 주택 배치법과 구조 양식의 골격을 유지하면서도 부엌 뒷마당을 중심으로 찬방, 안방, 부엌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였다. 이 구조로 보아 가사 노동을 기능적으로 집약화한 20세기 초의 주택 공간 구성의 흐름에 맞춘 합리적 사고를 엿볼 수 있다.

이 집을 중매댁이라고 부르는 것은 정발의 어머니가 칠곡군 왜관읍 매원리(중매)에서 시집왔기 때문이라고 한다.

참조항목

성주군, 수륜면, 주택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