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광음동 분청사기요지

안동 광음동 분청사기요지

[ 安東 光音洞 粉靑砂器窯址 ]

요약 경상북도 안동시 남후면 광음리에 있는 조선시대 초기의 도요지. 1979년 12월 18일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안동 광음동 분청사기요지

안동 광음동 분청사기요지

지정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지정일 1979년 12월 18일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남후면 광음리 산57번지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산업생산 / 요업 / 도자기가마
크기 면적 1,485㎡

1979년 12월 18일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조선 초기 인화분청문 상감사기를 생산하던 곳이다. 조선 중기의 학자 권기(權紀)·유우잠(柳友潛)·이의준(李義遵) 등이 편찬한 안동읍지 《영가지(永嘉誌)》에는 “분청사기의 생산지는 부내(府內) 25리에 있으며, 그릇은 매우 화려하고 색은 붉다”고 기록되어 있다.

지정면적은 1,485㎡로, 광음동 야산의 남쪽 기슭에 있다. 당시 사용하였던 백토원료도 찾아볼 수 있으며, 폐기된 사기 조각은 조그마한 언덕을 이루고 있다. 한국의 도자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서 중시되고 있다. 서정봉(徐政鳳)이 소유·관리하고 있다.

참조항목

남후면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