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성주사 대웅전

창원 성주사 대웅전

[ 昌原 聖住寺 大雄殿 ]

요약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성주사에 있는 법당. 1974년 12월 28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창원 성주사 대웅전

창원 성주사 대웅전

지정종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74년 12월 28일
관리단체 성주사
소재지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곰절길 191 (천선동)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1974년 12월 28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성주사에서 소유, 관리하고 있다. 성주사는 835년(흥덕왕 10) 신라의 승려 무염(無染)이 왜적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창건하였으며 진경(眞鏡)이 중건하였다. 그뒤 조선시대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81년(숙종 7)에 중창하였다.

대웅전은 목조기와집으로 정면 3칸, 측면 3칸의 5량 구조이며 맞배지붕을 한 다포계(多包系) 양식이다. 우주(隅柱)의 귀솟음이 약간 있고 기둥은 배흘림이 조금 있다. 뒷면의 왼쪽 우주는 긴 주춧돌을 단지형으로 세우고 밑에 다른 기둥과 같이 넓은 자연석으로 주춧돌을 놓은 특이한 형태이다. 앞면의 공포는 조선 후기 건축의 특징인 화려하고 장식적인 조각으로 꾸며져 있다.

참조항목

창원시

역참조항목

성주동, 성주사, 천선동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