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불곡사 일주문

창원 불곡사 일주문

[ 昌원 佛谷寺 一株門 ]

요약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대방동에 있는 불곡사 경내의 일주문. 1974년 12월 28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창원 불곡사 일주문

창원 불곡사 일주문

지정종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74년 12월 28일
관리단체 불곡사
소재지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대암로 55 (대방동)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

1974년 12월 28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일주문이란 기둥을 일렬로만 세운 문을 말한다. 불곡사 입구에 있는 이 문은 원래는 창원(昌原) 객사문(客舍門)이었다고 전하나 확실한 근거는 없고, 웅천향교(熊川鄕校)에 있던 것을 1843년(헌종 9) 우담화상(雨潭和尙)이 이곳으로 옮겼다고 한다.

기둥 위의 공포는 4출목(出目)의 복잡한 포작(包作)으로 짜여지고 조각도 매우 화려한 다포계(多包系) 양식의 맞배지붕집이다. 용두(龍頭)의 조각 솜씨, 쇠서[牛舌]와 쇠서 위아래 몸에 연화무늬를 조각한 솜씨 등으로 보아 조선 말기에 건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1977년 해체·복원하였다.

참조항목

불곡사, 창원시

역참조항목

사파동, 대방동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이미지

창원 불곡사 일주문

창원 불곡사 일주문 경남 창원시 성산구 대방동.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