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 대국산성

남해 대국산성

[ 南海 大局山城 ]

요약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진목리에 있는 옛성. 1974년 12월 28일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남해 대국산성

남해 대국산성

지정종목 경상남도 기념물
지정일 1974년 12월 28일
관리단체 남해군
소재지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진목리 184번지
시대 통일신라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크기 둘레 1.5㎞, 성벽 높이 5∼6m, 윗부분 너비 2.4m

1974년 12월 28일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현성(縣城)이던 성산성에서 동북 방향으로 설천면과 고현면(古縣面)의 경계지점, 해발 376m의 대국산(大局山) 정상에 있다. 20∼30cm 크기의 자연석을 겹겹이 쌓아 올리고 내부에 흙과 자갈로 메워 토루를 만들어 직선형 성곽을 이룬 타원형 성곽인데 북쪽 일부를 제외하고는 거의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다. 둘레 1.5km, 성벽의 높이 5∼6m, 윗부분 너비 2.4m이다.

성문은 동남쪽의 계곡과 북쪽에 있었던 듯하며, 동남쪽이 정문이었다. 형태나 지형적으로 보아 현소재지 가까이 있어 현성의 외곽성 역할을 한 것 같다. 평상시에는 성 아래에서 거주하다 왜구의 침입을 받으면 산성으로 들어가 방어하고 공격한 것으로 보인다. 산성 성곽 위의 망루(望樓)와 봉수(烽燧)는 외적이 침입할 때 감시와 경계 구역으로, 중앙에 있는 건물터와 연못터는 지휘소와 식수를 해결하기 위한 장소이다. 성벽의 둘레는 네모꼴의 망대(望臺)가 있던 석축이 남아 있다.

축성 방법과 성의 형태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의 산성으로 추정된다. 성 안에는 지금도 여러 종류의 기와조각과 토기(土器)·자기(磁器) 조각들이 발굴되고 있다. 문헌에 보이는 고현산성(古縣山城)이 이것으로 여겨지는데, 현존상태가 매우 좋아서 학술상으로도 가치가 있다.

성 안에는 천장군(千將軍)과 칠시녀(七侍女)의 전설이 있는 제사터가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남해 대국산성 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남치리에 있는 옛 성이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