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 오량성

거제 오량성

[ 巨濟 烏良城 ]

요약 경상남도 거제시 사등면 오량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성. 1991년 12월 23일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거제 오량성

거제 오량성

지정종목 경상남도 기념물
지정일 1991년 12월 23일
관리단체 거제시
소재지 경상남도 거제시 사등면 오량리 1300-6번지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크기 면적 7,629㎡, 성 둘레 1,172m, 높이 2.61m, 폭 5m

1991년 12월 23일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평지에 축조된 것으로 곽 위에는 큰 나무와 잡목이 우거져 있으며 성 안에는 민가가 들어서 있고 주위는 논과 밭으로 둘러싸여 있다. 성의 둘레 1,172m, 높이 2.61m, 폭 5m로 현재 동쪽과 남쪽은 무너져내렸고 북쪽과 서쪽 일부가 남아 있다. 사방에 성문이 있었으나 지금은 동문과 북문이 남아 있어 출입구로 사용한다.

고려시대에는 이곳에 (驛)이 설치되었다가 고려 말에 폐지되었으며 1425년(세종 7) 다시 복원된 뒤 1500년 역에 보(堡)가 설치되면서 석축성이 되었다. 《거제군지》에 1500년(연산군 6) 둘레 2,150척(尺), 높이 13척의 석축성으로 쌓았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가까이에 있는 사등성, 고현성과 같이 큰 돌을 밑에 쌓고 그 위로 차츰 작은 돌을 쌓아올렸으며 가로 1.5m, 세로 1m의 자연석이 주로 사용되었다.

성의 동남쪽 우두봉에는 정중부의 난에 연루되어 유배되어 온 의종(毅宗)이 쌓았다는 폐왕성(廢王城)이 있다. 이 성은 의종이 거제로 피난와서 평지에 지금의 오량성을 쌓고 머물다가, 위급할 때 올라가서 살기 위하여 쌓았다고 한다.

참조항목

사등면, 거제시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