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비장

누비장

[ Nubijang (Quilting) , 縷緋匠 ]

요약 누비기술을 전수받아 이 일에 종사해 온 기술(자). 1996년 12월 10일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지정종목 국가무형유산
지정일 1996년 12월 10일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종류/분류 무형유산 / 전통기술 / 공예

1996년 12월 10일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일반적으로 누비란 옷감의 보강과 보온을 위해 사용된 재봉기법으로 거죽과 안을 맞춘 옷감 사이에 솜을 넣고 함께 홈질하여 맞붙이는 바느질법이다. 누비란 말은 승복(僧服)인 납의(衲衣)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며 ‘납’은 기웠다는 뜻이다. 바느질된 옷감은 의복을 비롯해서 침구류, 각종 보자기와 주머니류 등 다양한 생활용품에 이용되었다.

한국의 누비는 면화 재배 이후 적극적으로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이미 상고시대부터 명주솜이나 동물의 털, 식물성 인피섬유, 갈대 등을 이용한 누비기법이 존재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 고분벽화인 5세기경의 감신총(龕神塚) 서벽 무인상은 사선으로 누벼진 갑주(甲胄)를 입었다. 누비는 직선을 따라 규칙적으로 반복해서 누벼주는데 누비 간격이나 바느질 땀수에 따라 세누비·잔누비·중누비 등으로 나뉘며, 형태에 따라 오목누비·볼록누비·납작누비로 대별된다. 잔누비의 누비간격은 0.3㎝, 세누비 0.5㎝, 중누비 1.0㎝ 이상으로 구분된다.

솜을 여유있게 두고 정교하게 누벼주어 볼록한 모양의 입체효과를 주면 볼록누비라 하고, 얇게 솜을 두거나 닥종이를 이용하거나 옷감만으로 누벼 평면적이면 납작누비라 구분하였다. 누비간격 0.5㎝ 이내의 세누비나 잔누비 중에서도 옷감 2겹만을 정교하게 누벼주고 누빈 바느질선에 풀을 칠해 인두질하여 줌으로써 겉모양이 오목오목하면 오목누비라 하였는데 이는 특히 공이 많이 들어 궁중이나 일부 상류층에서 이용하였다. 누비는 단순한 작업처럼 보이지만 정신을 집중시키고 정성으로 바느질해야만 누비선이 곧게 누벼지고 표면이 울지 않고 매끈하게 처리되므로 수행하는 자세로 작업해야 한다.

기능 보유자는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성내리에 사는 김해자(金海子)였으나 2024년 4월 13일 사망하면서 기능 보유자가 현재는 남아있지 않다. 누비장 기능보유자였던 김해자는 어려서부터 바느질에 취미가 있어 모친과 조모로부터 기초를 배웠으며 어머님의 삯바느질을 도왔다. 계속해서 왕실의 침방 나인이었던 성할머님께 전수받기도 하고, 사찰에 기거하면서 승려들로부터 기술을 터득하였다 한다. 체계적으로 연구되지 않은 누비분야를 박물관의 유물을 조사·연구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터득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기도 하였다. 식물성 염료를 이용해 직접 염색도 했던 것으로 알려진다.

한국의 전통 손누비는 세계 유일한 재봉법으로 그 정교함과 작품성이 자수를 능가하는 예술품으로 평가받는다.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