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암산성

용암산성

[ 龍岩山城 ]

요약 대구광역시 동구 도동 용암산에 있는 삼국시대의 산성. 1988년 5월 30일 대구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지정종목 대구광역시 기념물
지정일 1988년 5월 30일
소재지 대구광역시 동구 도동 산35,36
시대 삼국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크기 성벽 둘레 약 1,300m

1988년 5월 30일 대구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이 산은 불로동에서 도평동으로 통하는 길목에 자리잡고 있다. 해발고도 380m의 용암산 중심으로 가파른 경사면을 이용하여 쌓았는데, 지형상 당시 군사적 요충지로 여겨지는 안심(安心)과 하양(河陽)으로 통하는 길목이었다.

대구지역에 현재 남아 있는 대부분의 성은 대체로 대구로 들어오는 길목에 위치하고 있는데 하천변의 낮은 구릉상에 축조된 것과, 교통요충지가 되는 도로변의 높은 산에 축조된 것이 있다. 낮은 구릉상에 쌓은 성은 대체로 규모가 작은 토성이며 물 가까이에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들은 비교적 이른 시기의 것들이다. 이에 비해서 높은 산에 쌓은 성은 넓은 지역을 조망할 수 있는 교통요충지에 위치하는데, 이는 발달된 무기나 대규모의 전투를 치를 수 있는 지세를 택하여 쌓은 것이다. 용암산성은 후자에 속한다.

용암산성은 성벽의 둘레가 1,300m 정도의 큰 규모이다. 산 정상은 평평하며 동서 양쪽이 45도 가량의 급경사를 이루고 있다. 서쪽과 남쪽의 산기슭과 능선으로 이어지는 완만한 경사지에는 대규모의 인공절벽을 만들어 외부의 침입을 막도록 하였다. 이 인공절벽에는 성문지(城門址)로 추정되는 입구가 있다. 산성의 주변에서 신라의 토기 조각이 많이 발견되는 점으로 보아 축성 시기는 삼국시대일 것으로 추정된다. 임진왜란으로 대구지방이 초토화되었을 때 인근에서 일어난 의병들이 이곳에 모여 활동했다는 구전으로 보아 그 후대에까지 사용되었던 산성이라 할 수 있다. 성안의 동북쪽에는 임진왜란 때 팠다는 옥천(玉泉)이라는 우물터가 남아 있다.

참조항목

동구, 도평동

역참조항목

도동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