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신사지 석비

십신사지 석비

[ 十信寺址 石碑 ]

요약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석비. 1986년 11월 1일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십신사지 석비

십신사지 석비

지정종목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86년 11월 1일
관리단체 광주역사민속박물관
소재지 광주광역시 북구 서하로 48-25 (용봉동, 광주역사민속박물관)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크기 높이 4.7m

1986년 11월 1일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화강석으로 만든 높이 4.7m의 이 비의 형태는 귀부(龜跌)·비신(碑身)·옥개석(屋蓋石)을 모두 갖추고 있다. 귀갑문(龜甲紋)에 새겨진 왕(王)자는 고려적인 요소도 보이나, 팔작지붕 형태의 옥개석, 퇴화된 귀부에서 고려의 전통을 이어받은 조선 초기의 작품으로도 보인다. 범자비(梵字碑)라고 불리는 비신에는 정면 윗부분에 범자를 새기고 그 아래에 비문을 새겼는데, 그 내용은 밀교 계통의 능엄경(楞嚴經)에 나오는 경문으로 질병을 막고 장수를 기원하는 뜻이 담겨 있다.

이 석비는 폐사된 십신사지(옛 광주농고 자리)에 있었으나 1977년 광주농업고등학교가 오치동으로 옮겨감에 따라 1990년 10월 11일 광주민속박물관으로 옮겼다. 십신사지는 고려 문종 때 창건되어 일대가람을 이룬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 광산현조에 ‘십신사지 재현북오리 평지유범자비’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 중종 때까지는 존속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뒤 폐사된 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다. 1978년 2월 보수공사시 비문에서 정사년이라는 명문이 발견되어 1437년(세종 19)에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십신사지 석비 조선시대 비석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호 비석의 상단에 불교문자인 고대인도의 브라흐미 문자가 새겨져 있기 때문에 범자비라고도 부르는 비석으로 조선시대 초기에 건립된 것이다. 거북받침돌 위로 비석을 세우고 지붕돌을 얹은 형태이다. 거북받침은 사각형이며 등에는 거북등문양인 육각형 안에 王자를 새겨 놓았다. 비 끝부분에서 ‘정사년’이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어 조선 1437년(세종 19년)에 세운 것으로 보인다. 비문에는 질병을 막고 장수를 기원하는 구복의 내용을 담고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