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리 석조여래입상

낙동리 석조여래입상

[ 樂洞里 石造如來立像 ]

요약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주생면 낙동리에 있는 석불. 1974년 9월 27일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낙동리 석조여래입상

낙동리 석조여래입상

지정종목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74년 9월 27일
관리단체 남원시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주생면 낙동리 산15-6번지
시대 고려시대
종류/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크기 전체높이 240㎝, 불상높이 133㎝

1974년 9월 27일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남원시에서 관리하고 있다.

낙동리의 옛 절터로 추정되는 야산에 남면(南面)하고 있는 화강암제의 여래입상이다. 무릎 부분 이하가 매몰된 것을 근래에 발굴하여 좌대(座臺)가 노출됨으로써 완전한 형태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노출부위는 마멸이 심하다.

연화좌에 서 있는 여래로, 불상과 광배는 1석으로 되었다. 대좌는 3단으로 구성하여, 한 변의 길이 115㎝, 높이 16㎝의 방형 하대석에는 후면을 제외한 윗면에 복련(覆蓮)을 새겼다. 중대석은 활모양의 받침을 튀어나오도록 새긴 위에 폭을 좁힌 받침을 1단 새겼다. 상대석은 폭을 더 좁힌 8각형의 낮은 받침이 연화문(蓮花文) 상대를 받치고 있다. 받침 측면에는 앙련(仰蓮)을 양각하였다. 전체적으로는 대좌가 낮아 구별이 뚜렷하지 않고, 문양도 마모가 심하다.

광배는 거신광(擧身光)으로서 맨 윗부분 중앙에는 4엽화문(四葉花文)을 양각하였다. 두광(頭光)과 신광(身光)은 2중선을 새겨 그 내곽에는 화문(花文)을, 외곽에는 화염문(火焰文)을 양각하였다. 여래상은 광배면으로부터 14㎝정도 튀어나오게 부조하였다. 하대석(下臺石)으로부터 광배 끝까지의 높이는 240㎝, 광배높이는 180㎝, 불상높이는 133㎝이다.

불상의 머리는 소발(素髮)로 큼직한 육계가 있고, 상호(相好)는 마멸이 심하여 분명치 않으나 둥근 눈이 뚜렷하고 볼의 윤곽은 온유하다. 목은 좁혀지고 삼도(三道)가 있으며, 어깨는 우아한 곡선을 이룬다. 복장은 통견의(通肩衣)로 가슴 앞에서 평행의 곡선을 그리면서 2단으로 무릎 부위까지 내려왔다. 양팔의 소매 끝도 양다리 좌우에 내려져 있다. 수인(手印)은 마멸이 심해 분명치 않으나, 오른손을 가슴 높이로 들고, 왼손은 배 앞에 구부리고 있다. 지물(持物)도 있는 듯하나 분명하지 않다.

이 석불은 만복사지(萬福寺址) 석불입상과 그 구조와 수법이 같은 것으로 생각되며, 고려 전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