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현동 부도

모현동 부도

[ 慕懸洞 浮屠 ]

요약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모현동에 있는 부도. 1984년 4월 1일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모현동 부도

모현동 부도

지정종목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84년 4월 1일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모현동1가 719번지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1984년 4월 1일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혜봉원(慧峰院)에 있다. 혜봉원은 1894년(고종 31)에 '삼곤사(三坤寺)'라는 이름으로 창건되었는데, 1955년 지금의 이름으로 바뀐 것이라고 전해진다. 군산시 서수면에 있는 보천사에서 승탑을 얻어 온 것이라고 한다.

지대석은 8매의 석재로 사각형을 이루며, 하대석(下臺石)은 팔각으로 중판(重瓣)의 복련(覆蓮)이 각출되어 있다. 중대석은 팔각형이며 각면에 반상을 각출했다. 중대석 받침은 위는 좁고 아래는 넓은 팔각으로 되어 있다. 하대석보다 훨씬 크며, 상하와 중간의 각 면에도 연화무늬가 조각되어 있어 다른 승탑에 비해 양식이 특이하다. 상대석은 둥글며 팔엽(八葉)의 앙련(仰蓮)이 새겨져 있는데, 이 기단부의 높이는 1.25m이다. 상대석 윗면에 높이 0.46m의 둥근 탑신을 올려 놓았고, 낙수면(落水面)의 경사가 급한 팔각형의 옥개석을 올려 놓았다. 상륜부(上輪部)에 상륜 받침이 있고, 그 위의 가운데에 연주무늬가 양각된 둥그런 복발(覆鉢)이 있는데, 보륜이나 보개를 구성하지 않고 바로 보주를 조각했다. 중대석 받침은 그 형태나 조각 수법으로 보아 나중에 만들어 끼운 것으로 보인다.

참조항목

승탑, 혜봉원

역참조항목

모현동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