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삼화사 삼층석탑

동해 삼화사 삼층석탑

[ Three-story Stone Pagoda of Samhwasa Temple, Donghae , 東海 三和寺 三層石塔 ]

요약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삼화동 삼화사에 있는 신라시대의 석탑. 1998년 4월 6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동해 삼화사 삼층석탑

동해 삼화사 삼층석탑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98년 4월 6일
소재지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삼화로 584 (삼화동, 삼화사)
시대 신라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크기 높이 4.8m

1990년 5월 31일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으나, 1998년 4월 6일 보물로 승격 지정되었다. 현재 삼화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삼화사는 642년(신라 선덕여왕 11) 자장율사가 창건하여 흑련대(黑蓮臺)라 하였는데 864년(경문왕 4) 범일조사가 다시 절을 짓고 삼공암(三公庵)으로 부르다가 고려 태조 때 삼화사로 개칭되었다고 전한다. 그후 여러번의 소실과 중건을 거치다가 1977년 쌍용양회 동해공장의 석회석 채광권에 포함되어 현재의 무릉계(武陵溪)로 절을 옮겼다.

이에 따라 1979년 12월 2일 석탑을 이전하여 대웅전 오른쪽 하단에 설치했으나 계속 균열이 생기고 가람배치에 맞지 않아 1997년 4월 25일 현재의 위치로 다시 이전하기 위해 석탑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상층기단 중심부에서 목함이 발견되었다. 목함 안에서 납석(蠟石:곱돌)으로 된 소형탑 25기와 청동제 대좌(臺座) 파편 2점, 쇠조각 6점 등이 나왔으나 대부분 원형이 훼손된 상태였다.

이 탑은 644년(선덕여왕 13)에 건립되었다는 설이 있으나 기단부(基壇部)의 구성, 별석(別石)의 탑신괴임, 옥개석(屋蓋石)의 조성양식과 수법 등으로 볼 때 신라시대 말기인 9세기 후반의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으로 균형감 있는 단정한 모습으로 2층의 기단부와 3층의 탑신부로 구성된 높이 4.8m(찰주를 제외하면 3.6m)의 석회암 석탑이다. 석재의 특성상 풍화가 심해 부분적으로 훼손된 부분은 있으나 기단부에서 찰주까지의 전체 모습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아래부터 지대석(地臺石), 기단부(基壇部), 탑신부(塔身部), 상륜부(相輪部)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는데 4장의 장대석(長大石)으로 짜여진 지대석 위에 비교적 높은 기단을 올렸다. 기단부는 2단으로 쌓았는데 2개의 중석에는 각 면마다 탱주(撑柱:지탱해 주는 기둥) 1개와 우주(隅柱:모서리의 기둥) 2개씩이 새겨져 있으며 2개의 갑석(甲石)은 모두 윗면이 약간 경사져 있고 2단의 낮은 괴임이 있는데 상층기단의 갑석 위에는 별석의 괴임석을 삽입하여 탑신을 받치고 있다. 탑신부는 1개의 석재로 만든 대석과 옥개석을 3층으로 쌓았는데 1층 대석이 제일 높고 2,3층은 1층의 1/3정도로 줄여 만들었다. 폭도 위로 갈수록 자연스럽게 줄어들어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준다. 상륜부에는 사각형 기와지붕 모양의 노반(露盤)과 복발(覆鉢:스님들의 밥 그릇인 바리때를 엎어놓은 모양) 위에 길쭉한 쇠꼬챙이로 된 찰주(擦柱)가 꽂혀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