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산사 홍련암

낙산사 홍련암

[ 洛山寺 紅蓮庵 ]

요약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현면 전진리에 있는 법당 건물. 1984년 6월 2일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낙산사 홍련암

낙산사 홍련암

지정종목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84년 6월 2일
관리단체 낙산사
소재지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현면 전진리 산5-2번지
시대 신라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사찰
크기 높이 7.5m, 가로 8m, 세로 6m

1984년 6월 2일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676년(신라 문무왕 16) 한국 화엄종의 개조인 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고 하는 법당 건물이다. 관음굴(觀音窟)이라고도 한다.

그 유래와 관련된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온다. 신라 문무왕 12년 의상이 입산을 하는 도중에 돌다리 위에서 색깔이 파란 이상한 새를 보고 이를 쫓아갔다. 그러자 새는 석굴 속으로 들어가 자취를 감추고 보이지 않았다. 의상은 더욱 이상하게 여기고 석굴 앞 바다 가운데 있는 바위 위에 나체로 정좌하여 지성으로 기도를 드렸다. 그렇게 7일 7야를 보내자 깊은 바다 속에서 홍련(붉은 빛깔의 연꽃)이 솟아오르고 그 속에서 관음보살이 나타났다. 의상이 마음 속에 품고 있던 소원을 기원하니 만사가 뜻대로 성취되어 무상대도를 얻었으므로 이곳에 홍련암이라는 이름의 암자를 지었다고 한다.

낙산사 해수관음공중사리탑 비명에 1619년(광해군 12)에 중건했다는 기록이 있으나, 지금의 법당은 1869년(고종 6)에 중건된 것이다. 목조 기와 건물로, 전설에서 새가 들어갔다는 석굴 위에 건립되어 있다. ‘보타굴(寶陀窟)’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법당 안에는 높이 52.5㎝의 조그만 관음보살좌상(觀音菩薩坐像)을 모셔놓고 있다.

그밖에 제작연대가 불기(佛紀) 2984년 유(酉) 2월 23일로 되어 있는 탱화(幀畵) 등 6점이 있다. 이들은 모두 근대에 제작된 것들이다. 법당 입구에는 최근에 조성한 석등(石燈)이 좌우로 벌려서 2기가 있고, 홍련암 입구에 요사(寮舍) 1동이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