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천향교

화천향교

[ 華川鄕校 ]

요약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화천읍 하리에 있는 향교. 1985년 1월 17일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화천향교

화천향교

지정종목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85년 1월 17일
관리단체 향교재단
소재지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화천읍 하리 108번지
시대 미상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1985년 1월 17일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향교는 조선시대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역대 지리지에 향교의 위치나 건물의 규모에 대하여 대략 기술하고 있을 뿐으로 창건 연대는 명확히 알 수 없다.

1735년 김시민(金時敏)이 현감으로 부임하여 향교의 전사청(典祀廳)을 건설하고 외문루(外門樓)를 창건하였다. 1773년 조무(趙懋)가 명륜당을 중수하고 외삼문(外三門)을 중건하였으며 1786년 이재항(李在抗)이 향교를 중수하였다. 1950년 6·25전쟁으로 인하여 대성전을 비롯한 교궁건물(校宮建物)이 불에 타버리고 남아 있던 문서들도 소실되었다.

1960년 이종석(李鐘奭) 등 관내 유림들의 주선으로 대성전과 내삼문(內三門)을 재건하였고 중단되었던 석전행사(釋奠行事)를 계속하게 되었다. 1963년 향교 주위의 분기(墳基)를 이장하고 담장 공사를 하였다. 1975년 전교(典校) 박제묵(朴齊默)의 주관으로 명륜당·제기고(祭器庫)·외삼문을 중건하였으며 1982년 홍살문을 건립하였다.

향교는 외삼문을 마주보는 위치에 정면 4칸, 측면 2칸의 명륜당이 자리잡고 있다. 계단을 올라가면 내삼문이 있고 그 앞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대성전이 있고 그 오른쪽에 제기고가 자리잡고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공자·증자·자사·안자·맹자), 공문십철(孔門十哲), 송조6현(宋朝六賢), 한국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향교 재단에서 관리하고 있다.

참조항목

화천읍, 향교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