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월사 천봉당 태흘탑

망월사 천봉당 태흘탑

[ Taeheultap Pagoda at Cheongbongdang Hall of Mangwolsa Temple , 望月寺 天峰堂 泰屹塔 ]

요약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망월사에 있는 천봉당 태흘스님의 부도. 1985년 9월 20일 경기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망월사 천봉당 태흘탑

망월사 천봉당 태흘탑

지정종목 경기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85년 9월 20일
관리단체 망월사
소재지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1동 산91번지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크기 높이 2.6m, 탑신 둘레 약 2.5m

1985년 9월 20일 경기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천봉당 태흘(1710~1793)은 조선시대의 고승으로 황해도 서흥 태생으로 이름은 태흘이고 자는 무등이다. 이 부도는 1793년(영조 42) 백천 호국사에서 입적한 태흘의 정골사리 2과, 사리 64매를 백천 호국사, 문화 월정사, 양주 망월사 등에 나누어 봉안하면서 세운 사리탑 중 하나이다.

아래부터 지대석(地臺石), 기단부(基壇部), 탑신부(塔身部), 옥개석(玉蓋石), 상륜부(相輪部)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의 형식을 갖추었다. 정사각형 지대석 위에 놓인 기단은 팔각형으로 각 모서리에 구슬을 꿴 모양의 연주문(連株紋)이 세로로 새겨져 있다

탑신부는 팔각형 종모양으로 상단에 16판의 단엽복련(홑겹으로 된 연꽃 무늬로 꽃잎이 아래를 향함) 하단에 32개의 작은 단엽앙련(홑겹으로 된 연꽃 무늬로 위를 향함) 연화무늬가 조각되어 있고 중앙에 ‘西山五世孫 天峰堂泰屹塔崇禎紀元後 三甲寅 暮春下浣立(서산오세손 천봉태흘탑숭정기원후 삼갑인 모춘하완립)’이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어 부도의 주인과 건립 연대를 알 수 있다.

옥개석은 팔작지붕 형식으로 합각선(合閣線)이 매우 굵고 처마는 두꺼우면서 완만한 U자형을 이루고 있다. 상륜부는 8개의 단엽 연화무늬가 조각된 복발(覆鉢:승려들의 밥그릇인 바리때를 엎어 놓은 모양) 위에 연꽃 봉오리 모양의 보주(寶株)가 올려져 있다.

부도 뒤에 병풍처럼 펼쳐진 가파른 암벽에는 건립 당시의 시주자들 이름이 새겨져 있어 지금의 위치가 원래 위치임을 짐작할 수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