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수산 마애보살상

문수산 마애보살상

[ Rock-carved Bodhisattva of Munsusan Mountain , 文殊山 磨崖菩薩像 ]

요약 경기도 용인시 원삼면 문촌리에 있는 마애석불. 1984년 9월 12일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용인 문수산 마애보살상

용인 문수산 마애보살상

지정종목 경기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84년 9월 12일
관리단체 용인시
소재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문촌리 산25번지
시대 고려시대
종류/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보살상

1984년 9월 12일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2구의 마애석불로, 제작연대는 신라 말, 고려 초로 추정된다. 바위를 잘 다듬어 양쪽으로 대칭되게 선 두 보살상을 얕게 부조한 후 선각기법을 함께 사용한 뛰어난 마애보살상이다.

연꽃 위에 선 두 보살상 중 왼쪽 보살상은 정면으로 향한 얼굴을 오른쪽으로 약간 기울였으며, 왼손을 들고 오른손을 내려 엄지와 검지를 맞대고 있다. 옷을 걸치지 않은 상체는 단순한 모양의 목걸이와 팔찌만으로 꾸며져 있으며, 하체는 신체의 윤곽선이 뚜렷이 드러난 투명한 상의(裳衣)를 입고 있다. 오른쪽 보살상은 웃는 듯한 얼굴 표정을 하고 있다.

대담하게 단순화한 형태 묘사가 돋보이며, 신체의 비례에 견주어 큰 얼굴, 어깨가 올라간 움추린 자세, 손과 발의 섬세한 표현 등은 앞 시대의 선각마애불상을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 두 보살상만이 새겨진 희귀한 도상으로 도상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마애석불은 암벽이나 구릉에 새긴 불상, 또는 동굴을 뚫고 그 안에 조각한 불상이다. 한국을 비롯하여 인도·중국·일본 등에 퍼져 있으며 수법도 양각·음각·선각 등 다양하다. 한국은 7세기경 백제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수많은 마애석불이 전국에 퍼져 있다. 

참조항목

원삼면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관련동영상

문수산 마애보살상 경기도 용인시 문수산에 있는 고려전기 마애불상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0호   경기도 용인시 원삼면 문수산 정상 부근의 암벽면 위에 새겨진 2구의 보살상 마애석불로 고려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마애불에서 50m 떨어진 곳에 절터의 흔적이 남아있다.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2개의 암벽 위에 새겨진 마애불로 모두 연화대좌 위에 서 있는 형태이다. 왼쪽 보살상은 머리에 보관을 쓰고 얼굴은 풍만하며 왼손의 수인은 가슴에서 엄지와 검지를 맞대고 있다. 오른쪽 보살상은 민머리에 얼굴에는 미소를 띠고 있으며 두 귀가 어깨까지 내려와 있는 형태로 왼쪽의 보살상과 동일하게 하체는 치마를 두르고 있다. 대담하게 단순화한 형태 묘사가 돋보이는 불상으로 평가된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