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진 백령도 진촌리 맨틀포획암 분포지

옹진 백령도 진촌리 맨틀포획암 분포지

[ Peridotite Xenolith-Bearing Basalt in Jinchon-ri, Baengnyeongdo Island, Ongjin , 甕津 白翎島 鎭村里 맨틀捕獲巖 分布地 ]

요약 알칼리 감람석 현무암 분포지. 1997년 12월 30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옹진 백령도 진촌리 맨틀포획암 분포지

옹진 백령도 진촌리 맨틀포획암 분포지

지정종목 천연기념물
지정일 1997년 12월 30일
소장 국(국방부)
관리단체 옹진군
소재지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 진촌리 154-2번지
시대 신생대
종류/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지구과학기념물 / 지질지형

1997년 12월 30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전체 지정면적은 6,307㎡ 이다. 암질로 보아 알칼리 감람석 현무암류이며, 제3기 말의 분출물이다. 현무암이 분포하는 지역에서 진촌리 마을 부근이 지형상 고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진촌리 성당 부근이 분출의 중심지로 추정되나 분출구가 확인되지 않아 분출 양식은 알 수가 없다.

해안가에서 두께가 10m 이상 되는 용암층이 관찰된다. 이 용암층 내에서는 지름 5~10㎝ 크기의 신선한 감람암((橄欖岩) 포유물이 다량 관찰된다. 현무암류는 장석반정(長石斑晶)의 유무에 따라 장석(長石)과 은정질현무암(隱晶質玄武岩)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장석은 육안상으로 회색을 띠며 풍화면에서 중립 및 세립질(細粒質) 침상(針狀)이 많이 보인다.

은정질현무암은 흑색 또는 흑회색을 띠며 조직이 치밀하다. 주로 해안가에 분포하며 특히 초염기성암(超鹽基性岩)의 포획암(捕獲岩)과 이와 거의 크기가 유사한 알칼리 장석의 큰 결정이 산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두 용암류의 선후 관계는 야외에서 직접 확인되지 않았으나 분포상태로 보아 장석이 많이 있는 현무암류가 먼저 분출한 것으로 생각된다.

현무암류의 주요 구성 광물은 감람석, 휘석사장석이다. 부구성 광물은 자철석(磁鐵石), 알칼리 장석으로 전형적인 알칼리 감람석 현무암이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