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어사 당간지주

범어사 당간지주

[ 梵魚寺 幢竿支柱 ]

요약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 경내에 있는 당간지주. 1972년 6월 26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범어사 당간지주

범어사 당간지주

지정종목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72년 6월 26일
관리단체 범어사
소재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 (청룡동)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당간
크기 높이 4.5m

1972년 6월 26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함홍당(含弘堂) 아래의 송림 속에 있으며, 간석(竿石)과 기단부(基壇部)는 없어졌다. 지주는 좌우기둥 모두 가로 50cm, 세로 87cm에 높이가 4.5m이고, 양쪽 기둥의 간격은 79cm이다.

당간지주는 당간을 세우기 위하여 좌우에 당간이 지탱할 수 있게 세운 기둥이다. 당간은 당(幢)을 달아매는 장대이고 지주는 돌로 만들었는데, 당간은 돌이나 쇠, 나무로 만들었다. 당이란 절의 문 앞에 꽂는 기(旗)인데, 이것을 법회나 의식이 있을 때 걸기 위하여 당간과 당간지주로 제작되었는데, 통일신라시대부터 행하여졌다고 전해진다.

범어사에 있는 당간지주는 지금 지주만 남아 있는데, 지주의 상단 안쪽에는 직사각형의 간구(杆溝)가 있어 당간을 고정시켰다. 지주 위쪽 머리는 약간의 원호(圓弧)를 이루고, 지주에는 문양이 새겨져 있지 않다. 돌 다듬기가 고르지 않아 둔중한 느낌을 주는데 장식이 전혀 없어 검소하고 소박해 보인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