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피라미드

연령피라미드

[ Age pyramid ]

요약 연령의 계층별 형태가 피라미드처럼 아래쪽이 넓고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현상.

인구의 연대별 계층이 10대가 많고 20대가 그 다음, 30대가 그 다음의 형태로 나이가 많아질수록 사람의 숫자가 적어지는 것을 그림으로 그려 보인다면 마치 피라미드의 모양처럼 되므로 생겨난 말이다. 우리 나라도 예전에는 연령별 인구 구성비가 이와 같은 현상을 이루어 왔었다. 이것이 또 자연스런 현상이기도 하다. 그런데 산업사회로 접어들면서 피임 또는 가족계획(산아제한)이 이루어지고 핵가족의 증대에 따른 자녀 수가 줄어들었으며, 한편으로는 의술이 발달하면서 인간의 평균수명이 길어짐과 더불어 노령층의 인구는 비례적으로 점점 많아졌다.

이 연령 피라미드 현상은 20세기 중반에 들어와 깨어지기 시작하였는데 이러한 현상은 문명의 선진국으로부터 시작하여 온 세계로 빠른 속도로 번져 나갔다. 1980년대에 들어와서는 나라별로 보아도 특수한 사정이 있는 몇 몇 나라들을 빼 놓고는 연령 역(逆) 피라미드 현상으로 구조가 뒤바뀌는 현상이 되었다. 지금은 세계적으로 모든 지역, 모든 나라들이 그러한 실정이므로 이 인구의 고령화 증대가 하나의 사회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 최근의 ‘사회지표(社會指標)’ 조사 결과에 따르면 1960년대부터 신생아의 출생률이 낮아지기 시작하였고 1980년대에 들어오면서 피라미드 현상이 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연령피라미드 본문 이미지 1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