캅카스의 자연

캅카스의 자연

산이 많은 지형으로, 중앙부를 볼쇼이(大)캅카스산맥이 동서 방향으로 가로지른다. 북부의 프레트카프카지에(시스코카서스:면적 25만km2)와 남부의 자카프카지에(트랜스코카서스:면적 19만km2)로 크게 구분되며, 전체적으로는 아래의 4부분으로 나뉜다.

① 프레트카프카지에:볼쇼이캅카스산맥의 북쪽 지역으로 러시아연방령이다. 쿠반강(江) ·테레크강이 흐르는 광활한 스텝지대이고 중앙부에는 스타브로폴구릉(丘陵)이 북쪽으로 돌출해 있다. 경사가 완만하여 초원은 밀 경작지로 개간되어 있다.

② 자카프카지에:볼쇼이캅카스산맥의 남쪽 지역으로 그루지야·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이 자리잡고 있다. 기슭은 급한 단애(斷崖)를 이루며 리오니강(江) ·쿠라강의 하곡(河谷)과 연결된다. 중앙부에는 수람산지가 솟아 있어 동·서 사면에 저지를 형성한다. 서쪽 그루지야의 콜히다 저지는 아열대습윤기후를 나타내기 때문에 수후미 등 휴양지나 피한지(避寒地)가 많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동쪽 아제르바이잔의 쿠라 아라크스 저지는 매우 건조한 대륙성기후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식생(植生)이 희박한 반(半)사막지대를 이룬다. 쿠라강 하곡에는 밍게차우르 댐이 건설되어 관개용수가 공급됨으로써 농목축 지대가 확대되고 있다.

③ 말리(小)캅카스산맥:아르메니아고원의 중앙부에는 세반호(湖:호면 해발고도 1,914m)라는 큰 호수가 있으며, 원추화산(圓錐火山)인 최고봉 아라가츠산(山:4,095m)을 비롯한 많은 화산이 분출하여 화산성 퇴적물이 주위의 지표를 뒤덮고 있다. 말리캅카스산맥의 가장 남쪽 부분은 아라크스강(江) 계곡으로 아제르바이잔의 국경에 해당하는데, 세반호와 아라크스강 계곡에서 수력발전이 이루어진다. 볼쇼이캅카스산맥의 남쪽과 북쪽은 현저한 기온차를 나타낸다. 1월 평균기온이 북쪽의 쿠반 평원에서는-5℃, 남쪽의 리오니 하곡에서는 6℃를 나타내며, 7월 평균기온은 각각 20℃와 24℃를 기록한다.

④ 볼쇼이캅카스산맥:우랄산맥과 같이 ‘아시아와 유럽의 경계’로 여겨지며, 유럽에서는 그레이트코카서스산맥이라고 한다. 길이 약 1,200km, 최대 너비 180km. 러시아·아제르바이잔·그루지야의 경계를 이룬다. 동쪽은 파미르고원(高原)과 카라코람·히말라야의 양대 산맥, 서쪽은 발칸의 여러 산지에서 피레네로 이어지는 대습곡산맥으로 신기조산대(新期造山帶)에 속하며 장년기의 높고 험준한 산용(山容)을 이룬다. 산맥 중에는 4,000∼5,000m급의 높은 산이 많고 빙하가 발달하였으며, 최고봉은 엘브루스산(5,642m)이다.

산계는 여러 지맥으로 갈라져 뻗는다. 알프스 조산운동에 의하여 융기한 산맥으로 중앙부에 결정편암, 남북 산기슭에 고생층·중생층의 퇴적암이 노출된다. 또한 남쪽 산기슭은 계단식 단층에 의하여 급경사의 절벽이 쿠라강 골짜기로 빠진다. 산맥 중앙부에는 고기(古期) 기반암상에서 화산이 분출되며 설선(雪線) 이상은 모두 심한 빙식작용을 받아 산세가 험준하다. 약 1,965km2에 걸친 지역에 빙하가 남아 있으며, 길이 10km 이상의 빙하도 여러 갈래 있다.

산맥의 남북 양쪽 기슭의 제3기층에는 아제르바이잔의 바쿠 유전(油田)으로 연속되는 유맥(油脈)이 있다. 온천 ·광천이 용출되고 기후가 온난하여 휴양지대이다. 이 산맥을 경계로 남북 양쪽 기슭은 뚜렷한 기후 ·식생의 차이를 보인다. 북쪽 기슭의 평야는 볼가강(江) 하류의 저지에서 이어지는 스텝 지역이지만 산맥을 남쪽으로 넘은 서쪽의 콜히다 저지는 습윤한 아열대 또는 온대기후를 나타내며, 일부에서는 지중해성 기후도 볼 수 있다. 그러나 동쪽의 카스피해 근처에 이르면 기후는 건조하다.

캅카스 산중에서는 식생의 수직적 변화가 뚜렷하여 포도·올리브·무화과 등의 한계는 1,500m, 호두나무 1,800m, 밀·옥수수는 2,000m이다. 설선은 서부의 산 중턱에서는 2,800∼3,200m, 동부에서는 3,500m 이다. 산 중턱의 삼림지대는 유럽 산지와 비슷하여 너도밤나무·자작나무·노송나무·삼나무·소나무 등이 자란다. 남서쪽의 산 중턱은 특히 습윤냉량하여 많은 식물로 뒤덮여 있다. 남북을 연결하는 교통로는 제정 러시아 시대에 건설된 그루지야 군용도로와 오세티야 군용도로 등이 있으나 높이 2,300m 이상의 고개를 넘어야 하기 때문에 겨울에는 해안을 돌아가야 한다.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