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스의 방법

체스의 방법

체스의 판은 오른쪽 자기 앞에 흰 칸이 오도록 놓고, 말을 자기쪽 첫째 칸과 둘째 칸에 배치하고, 백이 선수로 한 수씩 교대로 말을 움직여 먼저 상대방의 킹을 잡는 사람이 승자이다.

체스의 방법 본문 이미지 1

행마법으로 킹은 주위 8개 칸으로 한 칸씩 움직일 수 있다. 퀸은 가로·세로·비스듬히 움직일 수 있고, 룩은 가로·세로로 움직일 수 있으며, 비숍은 비스듬히 얼마든지 움직일 수 있으나, 퀸·룩·비숍 셋 다 다른 말을 뛰어넘어서는 안 된다. 나이트는 팔방으로 움직일 수 있고, 말을 뛰어넘어도 된다.

폰은 원칙으로 한 칸씩 전진하게 되어 있으나 처음 배치된 자리에서 나올 때에만 한해서 2칸 전진도 허용된다. 말의 성능은 불변이지만, 폰에 한하여 상대방 진지의 1단(一段) 자리에 이름과 동시에 킹 이외의 말들 중 자기가 원하는 말로 변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강력한 퀸으로 변신하는데, 반상에 본래의 퀸이 있더라도 상관없으며, 새 퀸이라는 표시만 하면 된다.

체스의 방법 본문 이미지 2


말을 잡는 방법은 움직이고자 하는 말의 행선에 상대방 말이 있으면 그 위치까지 전진시켜 상대방 말을 반상에서 따낸다. 따먹힌 말은 끝날 때까지 사용할 수 없다. 폰이 상대방 진지의 1단 자리로부터 다른 유력한 말로 변신했을 때는 그 변신한 말로 다시 등장할 수 있다. 단 폰에 한해 따는 방법이 다른데, 폰이 상대방 말을 딸 때에는 비스듬히 1칸을 전진해서 따낸다. 따라서 폰 바로 앞 칸에 다른 말(상대방이나 내 것에 관계없이)이 있으면 그 폰은 바로 앞 대각선 자리에 상대방 말이 오지 않는 한 움직일 수가 없다.

바로 다음 차례에서 상대방의 킹을 잡을 수 있는 상태를 체크라고 한다. 체크를 당하면 킹을 빼앗기지 않게 최선의 방어수단을 강구해야 함은 물론이고, 그것이 불가능한 경우는 체크메이트로 패하게 된다. 체크가 되면 체크를 건 쪽에서 '체크'라고 소리내어 상대방의 주의를 환기시킨다.

만약 자기 차례에서 자기 말에 손을 대었을 때는 그 말을 움직여야 할 의무가 생긴다. 또한 상대방 말에 손을 대었을 때도 그 말을 따내지 않으면 안 된다(다른 유력한 말을 따내는 수가 있거나 또는 전술상 피하고 싶더라도 어쩔 수 없다). 그러나 따낼 수 있는 상태에 놓인 말이 아니거나, 자기 손이 닿은 자기 말이라 하더라도 이동방향이 막혀 움직일 방도가 없을 때는 벌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최초에 말의 배치가 잘못된 채 게임이 시작되었거나, 도중에 규칙에 어긋난 행마가 있었고, 원래 상태로 복원할 수 없는 경우는 그 게임은 무효이다.

특별 규칙으로 캐슬링(castling:入城)은 킹과 어느 한쪽에 있는 룩 사이에 말이 없을 때, 한 수에 킹을 두 칸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옮기고 룩을 그 안쪽에 앉힐 수 있다. 이 수는 킹도 룩도 아직 움직인 일이 없고, 킹의 통로에 상대방 말의 행마길이 안 뚫려 있을 경우에만 허용된다. 단, 킹이 체크를 당한 경우는 제외된다.

앙파상(en passant)은 폰이 5단 자리까지 전진하고, 다른 쪽 폰이 두 걸음 전진하여 나란히 섰을 때, 상대방의 폰이 1보 전진했을 때와 같은 모양에서 그 폰을 따낼 수 있다. 그러나 차례를 한 번 거른 다음에는 잡지 못한다.

드로(draw:비김)는 다음의 경우에 그 게임은 드로가 되고 0.5승(勝)으로 계산한다. 서로 킹만 남았을 때, 서로 체크메이트에 동원할 충분한 말이 없을 때, 전적으로 똑같은 국면이 한 국에 세 번 나타나 대국자의 한쪽이 드로를 제의했을 때, 쌍방이 판세를 읽어서 서로 같은 견해로 비김을 인정했을 때, 50수를 두는 동안 서로 따낸 말이 없고, 폰도 움직이지 않았을 때(50수 룰). 수(手)는 흑·백 각 한 번의 행마를 말한다. 공식전에서는 특별한 시계를 사용하며, 일정한 수수(手數)를 일정한 시간 내에 두지 않으면 시간제한패가 된다.

스테일메이트(stalemate)는 한쪽이 체크에 걸려 있지 않은데도 다음에 두어야 할 수가 없는, 즉 두면 킹을 따먹히는 상태에 있을 경우는 스테일메이트라 하여 비김이 된다.

체스의 방법 본문 이미지 3

참조항목

다트, 장기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