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의 교통

수원시의 교통

수원버스터미널

수원버스터미널

경기 남부의 요지로서 각종 교통 시설이 발달하였다. 도로 교통은 인천시 남동구 만수동을 기점으로 하여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까지 이어지는 영동고속도로(고속국도 50호선)가 수원시 장안구의 이목동·파장동·송죽동·조원동·하광교동과 영통구의 이의동 지역을 거쳐 가고, 용인서울고속도로(고속국도 171호선)가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을 기점으로 하여 수원시의 영통구 이의동을 거쳐 서울시 서초구 내곡동까지 이어진다. 또 평택시 오성면에서 파주시 문산읍까지 경기도 서부 지역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평택파주고속도로(고속국도 17호선)가 수원시 권선구의 호매실동·금곡동·당수동 지역을 지나간다. 동수원 나들목에서 영동고속도로와 용인서울고속도로가 접속하고, 영동고속도로가 인접한 용인시의 신갈 분기점에서 경부고속도로가 접속한다.

일반국도는 전남 목포시에서 수원시의 팔달구와 장안구를 거쳐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이어지는 1호선을 비롯하여 42호선(인천시 중구 북성동~수원시 권선구·팔달구·영통구~강원 동해시 송정동), 43호선(세종시 아름동~수원시 영통구·장안구~강원 고성군 고성읍) 등이 지나간다. 권선구 대황교동에서 팔달구·장안구와 의왕시·군포시를 거쳐 안양시 만안구의 석수동까지 이어지는 국도 1호선 및 43호선의 일부를 경수대로(京水大路) 또는 경수산업도로라 칭하고, 팔달구 고등동에서 권선구와 안산시·시흥시를 거쳐 인천시 남동구 장수동까지 이어지는 국도 42호선의 일부를 수인로(水仁路) 또는 수인산업도로라 칭한다. 국도 1호선이 북수원 나들목에서 영동고속도로와 접속하고, 국도 43호선이 동수원 나들목에서 영동고속도로와, 광교상현 나들목에서 용인서울고속도로와 각각 접속한다.

국가지방지원도(국지도)는 84호선이 인천시 강화군 강화읍에서 수원시 권선구의 오목천동을 거쳐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부론면으로 이어지고, 98호선이 팔달구 인계동을 기점과 종점으로 하여 용인·광주·여주·양평·남양주·가평·포천·양주·파주·고양·김포·인천·시흥·안산·화성 등지의 경기·인천 지역을 순환하는 수도권 순환선으로 건설되고 있다. 이밖에 일반지방도는 309호선이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을 기점으로 하여 수원시의 권선구를 거쳐 과천시 과천동까지 이어지고, 315호선이 평택시 팽성읍을 기점으로 하여 수원시의 영통구를 거쳐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까지 이어진다. 지방도 309호선이 북수원 나들목에서 영동고속도로와, 금곡 나들목에서 평택파주고속도로와 각각 접속한다.

2017년을 기준하여 도로 총 길이는 95만 413m로 경기도 도로 총 길이의 약 7%를 차지하여 31개 시·군 가운데 비중이 가장 크다. 이 가운데 고속도로는 1만 9380m, 일반국도는 3만 2138m, 지방도는 2만 2522m이며, 시도(市道)가 87만 6373m를 차지한다. 터널은 영동고속도로상의 광교터널을 비롯하여 총 6개소, 교량은 권선구 세류동의 수원천을 가로지르는 세류대교를 비롯하여 총 133개소가 건설되었다. 권선구 권선동에 광주·대구·목포·부산·삼척·완도·여수·진주·통영 방면의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운행하는 수원버스터미널, 권선구 구운동에 인천·남원 방면의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운행하는 서수원시외버스터미널이 있다.

철도 교통은 1905년 경부선이 개통되어 수원역을 경유하고 있으며, 1931년 수원~여주를 잇는 수여선(水麗線)에 이어 1937년 수원~인천을 잇는 수인선(水仁線)이 협궤철도로 개통되었다. 수여선은 1972년에 폐선되었고, 수인선은 1995년에 영업이 중단되었다가 2012년 시흥시의 오이도역과 인천시 연수구의 송도역을 잇는 노선으로 복선 전철화되어 운행이 재개되었다. 이후 인천시 북성동의 인천역까지 노선이 연장되어 2020년에 분당선과 직결하는 수도권전철 수인·분당선에 편입되었다.

한편, 1974년 청량리역~서울역을 잇는 서울지하철 1호선과 경부선의 서울역~수원역 구간을 직결하는 전철이 개통되어 수원과 인근의 화성·오산·송탄까지 서울의 통근·통학권이 되었으며, 이후 지금의 수도권전철 1호선으로 확장되었다. 수도권전철 1호선은 경기도 동두천시 소요산역을 기점으로 하여 수원시의 성균관대역~화서역~수원역~세류역을 거쳐 충남 아산시 신창역까지 운행하며, 수원역에서 수도권전철 수인·분당선과 접속한다. 수원역에서는 경부선의 새마을호와 무궁화호 전 열차가 정차하고, 경부고속선의 KTX도 정차한다.

수도권전철 수인·분당선은 청량리역을 기점으로 하여 수원시의 청명역~영통역~망포역~매탄권선역~수원시청역~매교역~수원역~고색역~오목천역을 거쳐 인천역까지 운행한다. 또한 2011년에 개통한 신분당선이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의 강남역을 기점으로 하여 수원시의 광교중앙역을 거쳐 영통구 광교동의 광교역까지 운행한다. 이밖에 경기도 양주시에서 서울~과천시~군포시를 거쳐 수원시까지 수도권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 안양시 인덕원역을 기점으로 하여 수원시를 거쳐 화성시 동탄역까지 운행하는 인덕원동탄선(또는 신수원선)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2017년을 기준하여 철도 수송 여객은 승차 인원 5507만 4430여 명, 강차 인원 5472만 8000여 명이다. 화물 수송량은 도착 화물 23만 9198t이며, 수원역에서 취급한다.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