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강유역환경청

영산강유역환경청

[ Youngsanriver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 , 榮山江環境管理廳 ]

요약 영산강수계의 수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담기구.
영산강유역환경청

영산강유역환경청

구분 환경기관
설립일 1994년
설립목적 영산강수계의 수질 관리
주요활동/업무 환경오염사고예방·대응체계확립, 자율적인 환경관리유도, 환경오염물질 배출원 관리, 환경오염측정망 운영·관리, 홍보 등
소재지 광주 북구 하서로 290-51(일곡동 760-2)
규모 112명(2국 11과 1감시단)

1980년 7월 광주환경측정 관리사무소를 설치하였으며, 1988년 10월에 광주환경지청을 개청하고 제주환경출장소를 신설하였다. 1990년 1월 광주지방환경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전주환경출장소를 증설하였다. 1994년 5월 영산강환경관리청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전주출장소 지방환경청으로 승격하였다. 2002년 8월 영산강유역환경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순천환경출장소를 신설하였으나 1998년 여수환경출장소로 개칭하였다. 1998년 2월 영산강환경감시대를 발족하였다. 관할구역은 광주, 전라남도, 제주도와 경상남도이다. 2009년 여수환경출장소를 폐지하였으며, 2012년 기준 관할구역은 광주(5구), 전라남도(5시 17군), 전라북도(6시 8군), 제주(2시), 경상남도(2군)으로 총 1광역시 5구 4도 13시 27군이다.

조직은 청장을 비롯하여 환경관리국, 유역관리국의 2국, 11과(총무과, 환경관리과, 자연환경과, 환경평가과, 화학물질관리과, 측정 분석과, 유역 계획과, 재정 계획과, 상수원 관리과, 수질총량 관리과, 수생태 관리과, 환경감시 1, 2과, 환경사범 수사과)와 환경감시단의 1감시단이 있다.

'녹색의 땅, 희망의 영산강'을 비전으로 삼고 '영산강·섬진강의 건강한 물환경 조성', '기후변화 대응역량 강화 및 생활의 녹색화', '우수 자연자원의 현명한 이용과 보전', '지역민과 함께하는 생활공감형 환경정책 추진'이 목표이다. 이를 위해 '영산강 ·섬징강 살리기 사업의 성공적 마무리', '녹색생활 실천 프로그램 확산', '남도 생태관광 활성화 지속 추진', '지역민과 함께하는 환경행정' 등의 정책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