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75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75

[ Avatamsaka Sutra (The Flower Garland Sutra), Zhou Version, the First Tripitaka Koreana Edition, Volumes 2 and 75 , 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二, 七十五 ]

요약 고려 현종 때 목판으로 인쇄한 《화엄경》 80권 중 제2권과 제75권. 1991년 7월 12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75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75

지정종목 국보
지정일 1991년 7월 12일
소장 호림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시대 고려
종류/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대장도감본
크기 2권 2축, 세로 28.7㎝·가로 46.5㎝(권2), 세로 29.8㎝·가로 46.1㎝(권75)

1991년 7월 12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목판본이며 2권 2축(軸)이고, 크기는 세로 28.7㎝·가로 46.5㎝(권2), 세로 29.8㎝·가로 46.1㎝(권75)이다.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호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대방광불화엄경은 줄여서 '화엄경'이라고도 부르며, 부처중생이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것을 기본 사상으로 하고 있다. 화엄종의 근본 경전으로 법화경과 함께 한국 불교전문강원의 교과로 학습해 온 경전이기도 하다. 이 책은 당나라 실차난타(實叉難陀)가 번역한 화엄경 주본 80권 가운데 권2, 권75에 해당한다.

판수제(版首題)는 잘려나가서 보이지 않으나, 이후에 나온 재조본(再雕本)은 판수제가 '周經 第二(七十五) 第二幅 首'로 되어 있다. 또 재조본은 권말에 〈을사세고려국대장도감봉칙조조(乙巳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의 간기(刊記)가 있으나, 이 초조본에는 간기가 없다. 본문에 자구의 변화가 없고 내용상 이자(異字)는 없으나, 본문 중 '경(敬)' 자와 '경(竟)' 자에 한 획이 빠져 있는 점으로 보아 송나라 때 만들어진 판본을 바탕으로 새긴 것으로 보인다. '경(敬)' 자와 '경(竟)' 자는 송나라 태조의 할아버지 이름으로 한 획을 줄여서 쓴 것이다.

간행기록이 없어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지만, 고려 초기 대장경 가운데 하나로서 12세기경에 찍어낸 것으로 보인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