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여래입상(1963)

금동여래입상(1963)

[ Gilt-bronze Standing Buddha , 金銅如來立像(1963) ]

요약 구리로 만들어 도금한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금동여래입상(1963)

금동여래입상(1963)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통일신라
종류/분류 유물 / 불교조각 / 금속조 / 불상
크기 높이 38.2cm 대(臺) 높이 8.7cm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8.2cm, 대(臺) 높이 8.7cm이다.

얼굴은 알맞게 살이 쪘고 오무린 입, 감은 눈과 얼굴 전체에 나타난 웃음이 무한한 감명을 주는 삼국시대의 고격(古格)을 그대로 간직한 불상이다.

나발(螺髮)에는 팽이 같은 육계(肉髻)가 높이 솟아 마치 ‘연가칠년명불’과 같은 격식이다. 아랫배를 조금 내밀고 서 있는 신체는 부드러우면서 자유롭다. 층을 이루면서 흘러내리며 겹쳐진 옷주름은 금동계미명삼존불(金銅癸未銘三尊佛) 같은 고졸(古拙)한 양식이다. 대좌(臺座)는 아랫부분이 8각인데, 각 면에는 초기의 부처에서 잘 볼 수 없는 안상(眼象)이 있고, 그 위에 8엽단판앙련(八葉單瓣仰蓮) 받침과 8엽복판복련(八葉複瓣覆蓮) 받침이 있다. 이 복련의 짧은 꽃잎이나 좁고 날카롭게 올라간 반전(反轉) 등은 경주 구황리(舊皇里) 금제여래좌상의 것과 비슷하다.

얼굴이나 도드라진 부분에는 도금이 벗겨졌으나, 비교적 잘 보존되어 구황리좌상과 더불어 중요한 자료이다.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었으나 2020년 국립중앙박물관이 구입하여 소장하고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