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앗이

품앗이

요약 농촌에서의 비교적 단순한 협동 노동 형식.

일반적으로는 노동의 교환형식으로 이해되고 있으나, 그 원초적(原初的)인 의미는 ‘품[勞力]’ ‘앗이[受]’에 대한 ‘품갚음[報]’, 즉 증답(贈答)의 관계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단순한 노동의 교환형태라고 보기에는 품앗이는 상대방의 노동능력 평가에서 두레나 고지(雇只) 또는 머슴의 경우처럼 타산적인 것이 못 된다.

사람과 농우(農牛)의 노동력 교환, 남성과 여성, 장년(壯年)과 소년의 노동력이 동등하게, 말하자면 인간의 노동력은 원칙적으로 모두가 대등하다는 가정(假定)하에 노동을 상호 제공하는 수가 많으며, 이러한 가정이 품앗이를 성립시키는 근본적 가치관이라 할 수 있다.

두레가 공동적 내지 공동체적인 것이라고 하면, 품앗이는 개인적 또는 소집단적이라는 인상이 짙다. 품앗이가 짜여지는 개인 혹은 소집단 상호간에는 그 선행조건으로서 상호부조의 의식과 의리(義理)라고 할 만한 정신적인 자세와 때로는 ‘처지가 서로 비슷한 경우라야 짜여질 수 있다’는 관념들이 바탕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도움을 도움으로 갚아야 한다는 일종의 증답의례적 사고방식이 제도화된 것을 품앗이라 할 수 있다. 두레가 1년을 통해서 가장 바쁜 농번기, 특히 모내기 시기에 이루어지는 데 반하여 품앗이는 소수인 사이에 시기와 계절을 가리지 않고 이루어지며, 작업의 종류도 농가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작업에 미치고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