펩신

펩신

[ pepsin ]

요약 위(stomach)의 주세포(chief cell)에서 분비되는 소화효소(digestive enzyme)이다. 단백질(protein)을 펩타이드(peptide)로 분해하는 기능을 한다.

펩신이란 이름은 소화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pepsis에서 유래되었다. 1836년 독일의 생리학자 슈반(Theodor Schwann)이 발견했으며, 최초로 발견된 동물 효소이다. 활성이 없는 펩시노겐(pepsinogen)으로 만들어져 저장되어 있다가 가스트린(gastrin)이나 미주신경(vagus nerve)과 같은 분비 신호가 오면 분비된다. 펩시노겐이 분비될 때 보통 벽세포(parietal cell)에 의한 염산 분비도 같이 이루어 진다.

펩시노겐은 소화 활성이 없으며, 펩신에 비해 44개의 아미노산(amino acid)을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다. 펩시노겐이 염산과 함께 분비되면, 염산에 의해 위의 pH가 내려가고 이러한 환경에서 펩시노겐은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는 44개의 아미노산을 스스로 잘라내고 펩신이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펩신이 된 후 단백질을 분해하는 능력을 가지게 된다.

평소에 활성이 없는 펩시노겐의 형태로 저장하는 것은 위 자체의 단백질이 펩신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막아준다. 단백질에서 페닐알라닌(phenylalanine)과 타이로신(tyrosine)과 같은 방향족아미노산(aromatic amino acid)이 있는 부분을 잘라내며 발린(valine), 알라닌(alanine), 글리신(glycine)과 같은 아미노산이 있는 부분은 분해하지 못한다. pH가 낮은 산성환경에서 활성도가 높으며, 최적의 활성은 약 pH2에서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