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미

흥미

[ interest , 興味 ]

요약 어떤 대상에 대하여 특별히 주의하려고 하는 감정 ·경향 혹은 태도.

특정 대상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이는 이유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K.레빈은 유의성(誘意性)을 가진 대상이 개인을 끌어당기는 것이라 하였고, H.베르너는 상모성(相貌性)을 가진 대상이 끌어당기는 것이라고 하였다. 어떻든 주의는 특정 대상을 적극적으로 선택하는 작용이다.

질문지법에 의하여 흥미의 유형을 조사한 바에 의하면 흥미의 발달에는 일정한 경향이 보인다. 즉, 유아기에는 물질적 ·신체적 ·이기적 요구에서 출발한 경제적 ·활동적 ·권력적인 흥미가 왕성하며, 이러한 흥미는 초등학교 입학 때부터 점차 감퇴된다. 이에 반하여 청년기에는 이타적 ·영지적(英智的) 요구에서 나오는 종교적 ·사회적 ·이론적 흥미가 늘어나는데, 특히 심미적(審美的) 흥미는 청년기에 가장 강하게 나타난다.

흥미를 교육적 입장에서 고찰한 바를 보면 먼저, J.루소는 아동의 흥미는 자연스럽게 성장한다고 생각하여 흥미에 따라서 활동시킬 것을 권장하였다. J.F.헤르바르트는 학습이 끝났을 때 그 일에 관하여 공부하고자 하는 흥미가 생겨나도록 하는 것이 교사의 역할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원만한 인격을 형성하기 위해 아동이 여러 방면으로 흥미를 갖도록 하는 것이 교사의 임무라고 하여 흥미를 교육의 목적으로까지 여겼다.

그러나 흥미를 중시한다는 것은 흥미본위와는 다르며, 어떤 일이나 학습을 할 때 반드시 처음부터 흥미가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처음에는 흥미가 없는 일이라도 수행하는 과정 중에 생기기도 한다. 학습내용의 가치를 발견한다는 점에서 학습 중에 흥미가 증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교육이다.

참조항목

흥미중심법

카테고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