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해북도

황해북도

[ Hwanghaebuk-do , 黃海北道 ]

요약 한반도 중부 내륙지방에 있는 도.
북한의 행정구역

북한의 행정구역

위치 한반도 중부 내륙
면적(㎢) 약 9,400여㎢
행정구분 3시 18군
인구(명) 2,104,000(2009년)

면적 약 9,400여㎢. 동쪽은 아호비령산맥을 경계로 강원(북한), 서쪽은 황남, 북서쪽은 평양 ·남포, 남쪽은 황남 ·개성시, 북쪽은 평남과 접한다. 8 ·15광복 당시의 황해도가 1954년 10월 황해남 ·북도로 분리되면서 신설된 도이다. 대체로 재령강 ·수양산맥 ·예성강을 경계로 황남과 구분된다.

황해북도 본문 이미지 1사리원나선특별시함경북도양강도함경남도자강도평안남도평안북도남포특별시평양직할시황해남도강원도

광복 당시 황해도의 행정구역은 3개 시, 17개 군이었으며, 이중 현재의 황북 지역에는 사리원시 ·송림시 ·황주군 ·봉산군 ·서흥군 ·수안군 ·신계군 ·곡산군 ·평산군 ·금천군이 있었다. 사리원시와 송림시는 1947년 6월에 각각 봉산군 ·황주군으로부터 분리되었다. 1945년 11월 38도선 이북인 경기 장단군 ·개풍군 지역을 통합하여 장풍군을 신설하였다.

1952년 12월 행정구역 개편으로 면(面) 단위 행정구역이 없어지면서 군이 많이 신설되었는데, 황주군 동부와 서흥군 북서부가 분리되어 연탄군이, 봉산군 남부와 재령군 동부가 분리되어 은산군이, 평산군 북서부와 서흥군 남서부가 분리되어 인산군이, 수안군 북부가 분리되어 연산군이, 곡산군 북부가 분리되어 신평군이, 금천군 동북부가 분리되어 토산군이 신설되었다.

이때 개풍군 ·장단군의 일부가 분리되어 판문군이 신설되었다. 1954년 10월 황해북도가 신설되면서 사리원 ·송림시, 황주 ·연탄 ·봉산 ·은파 ·인산 ·서흥 ·수안 ·연산 ·신평 ·곡산 ·신계 ·평산 ·금천 ·토산 ·개풍 ·판문 ·장풍군 등 2시 17군이 황북에 속하게 되었고, 도 소재지는 사리원시가 되었다. 1955년 1월 개풍군 ·판문군이, 1960년 3월에는 장풍군이 개성직할시로 편입되었다. 2002년 행정구역은 2시(사리원·송림), 14군(곡산·금천·인산·봉산·서흥·수안·신평·연산·연탄·은파·신계·평산·토산·황주)으로 구성되었다. 2010년 평양직할시의 강남군, 중화군, 상원군이 편입되면서, 군은 총 18군이 되었다.

산지가 많은 황해도의 동북부 지역을 차지하게 됨에 따라 산지와 구릉이 상대적으로 많은 도가 되었다.

가장 높은 산은 하람산(1,485m)이며, 북부에는 언진산맥, 북동부에는 강동산맥, 동부에는 아호비령산맥, 중앙에 멸악산맥 ·정방산맥이 뻗어 있다. 재령강 ·예성강 유역에는 넓은 평야가 있다. 주 산업은 농업과 공업이다. 도 면적의 24%인 경지면적은 26만 4천 정보이고 90 % 이상에서 벼 ·옥수수를 재배한다. 주요 농산물은 쌀 ·옥수수 ·보리 ·밀 ·감자 ·고구마이다. 과일생산이 많으며 특히 황주 사과는 유명하다.

양잠이 성하고 공예작물로 인삼 ·잎담배가 생산된다. 공업은 북서부에서 발달하였고, 송림 ·사리원시는 평양공업지구의 일부를 이룬다. 송림시에는 금속공업으로 황해제철연합기업소 ·송림압연공장 등이, 사리원시는 화학 ·기계공업으로 사리원가리비료연합기업소 ·사리원방직기계공장 ·사리원강철공장 등이 있다. 봉산군에는 2 ·8시멘트 공장이 있다.

그 밖에 광업 ·방직 ·식료품 공업이 입지한다. 철도는 평부선(평양~개성), 황해청년선(해주~사리원), 청년이천선(평산~세포), 은파선(은파~철광), 송림선(황주~송림)이 있다. 도로는 평양~개성 고속도로가 북서~남동 방향으로 통과하며 평양~원산 고속도로가 중북부를 지난다. 평양~개성 고속도로와 나란히 달리는 도로와, 수안~신계~평산 및 신평~곡산~신계를 잇는 간선도로가 있다.

카테고리

  • > > >
  • > > >

관련이미지

1946년 북한의 행정구역

1946년 북한의 행정구역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