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새치자리

황새치자리

[ Dorado ]

요약 남반구에서 관측되는 별자리로, 적경 5h 20m, 적위 -63° 1′에 위치하며, 대마젤란운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황새치자리

황새치자리

네덜란드의 항해자들의 관측에 따라 네덜란드 천문학자 페트루스 플란시우스(Petrus Plancius)가 지명한 12개의 별자리 중 하나이며, 1603년 독일의 천문학자인 요한 바이어(Johann Bayer)가 출간한 성도(星圖)인 우라노메트리아(Uranometria)에서 묘사되었다.

형태 및 특징

약자는 Dor이다. 별자리는 남반구의 첫 번째 사분면(SQ1)에 위치하고 있으며, 적경은 5h 20m, 적위는 -63° 1′, 남중시는 1월 20일 오후 9시(지방시)이다. 위도 20도와 -90도 사이에서 관측할 수 있으나, 한국에서는 관측할 수 없다.

별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은 알파 도라더스(Alpha Doradus)로 3.27등급이다. 황새치자리는 불규칙 은하인 대마젤란운(Large Magellanic Cloud)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또한 성단과 성운도 많이 포함하고 있는데, 타란튤라 성운(Tarantula Nebula)으로 잘 알려진 NGC 2070, 유령머리성운(The Ghost Head Nebula)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는 NGC 2080, 나선은하인 NGC 1566, 구상성단인 NGC 1850 등이 있다. 이웃하고 있는 별자리는 물뱀자리(Hydrus), 테이블산자리(Mensa), 화가자리(Pictor), 그물자리(Reticulum), 날치자리(Volans) 등이 있다.

 

역참조항목

대마젤란운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