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어

초어

[ grass carp , 草魚 ]

요약 잉어목 잉어과의 민물고기이다. 풀을 먹이로 하며, 국내에서는 타이완과 일본 등지에서 도입하였으나 자연번식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초어(Ctenopharyngodon idella)

초어(Ctenopharyngodon idella)

학명 Ctenopharyngodon idella
동물
척삭동물
경골어류
잉어목
잉어과
이칭/별칭 소교(ソウギョ)(일본어명)
멸종위기등급 미평가(NE : Not Evaluated, 출처 : IUCN)
크기 최대 몸길이 150cm
무게 최대 45kg
몸의 빛깔 등쪽 회갈색, 옆쪽 은백색
산란시기 4~7월
서식장소 수심 5m 이하의 호수나 연못
분포지역 중국·인도차이나·라오스·한국

풀을 먹는 물고기란 뜻에서 초어라 불린다. 최대 몸길이 150cm, 최대 몸무게 45kg이다. 겉모양은 잉어와 비슷하나, 수염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몸은 긴 직사각형이며, 몸빛깔은 등쪽이 회갈색, 옆쪽과 배쪽은 은백색이다. 비늘은 보통 크기로 비늘의 윤곽은 그물눈 모양이다.

수심 5m 이하의 호수나 연못에 서식한다. 산란기는 4∼7월 사이로, 주로 비가 많이 와서 강물이 불어나는 초여름이다. 강의 중하류에서 살고 있다가 강물이 불면 떼를 지어 상류쪽으로 이동하여 알을 낳는다. 알은 공모양으로 연한 노란색이며, 강물을 따라 대개 100km 정도의 먼 거리를 흘러 내려가면서 부화하게 된다. 강이 짧아서 알이 부화하기 전에 바다에 다다르면 번식 자체가 어려우므로, 초어가 번식하기 위해서는 강이 길고 수량이 풍부해야 한다. 일생 동안 상당히 많은 양의 풀이나 수초를 먹는다.

원산지는 아시아 대륙 동부로서, 중국을 비롯하여 인도차이나, 라오스 등지에 분포한다. 중국에서는 예전부터 양식하였으며, 자원 증식이나 양식을 목적으로 일본이나 한국에 도입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963년에 일본으로부터 처음으로 들여왔으며, 종묘생산 및 방류실험이 시도되고 있는데, 자연번식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방류된 초어가 서식하는 동안 수중에 있는 많은 양의 수초를 먹어 치우기 때문에, 어류서식지를 교란시키는 등 생태계에 피해를 주고 있다. 제초를 위한 목적으로 저수지나 하천에 방류하기도 하며, 중국에서는 주요한 식용어이다. 크기가 크고, 풀을 먹는 특이한 습성 때문에 낚시 어종으로서 인기가 있다.
초어 본문 이미지 1

역참조항목

초식어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