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수

치수

[ dental pulp , 齒髓 ]

요약 치아 내부의 해부학적 공간인 치수강과 근관 내부를 채우고 있는 소성결합조직으로, 신경과 혈관이 풍부하게 분포해 있다.

구조

치수는 다음 4개의 구역(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① 상아모세포대 : 가장 바깥쪽에서 상아질에 인접하여 존재하는 구역으로, 상아질을 형성하는 상아모세포가 관찰된다.
② 무세포대 : 치수강 내부에 존재하는 치수에서 현저하게 관찰되는 구역으로, 상아모세포대 하부에 위치하며 세포가 결핍되어 있다.
③ 세포밀집대 : 무세포대에 인접하여 치수강 내부에 존재하는 치수에서 쉽게 관찰되는 구역으로, 세포 밀도가 높은 부위이다.
④ 치수 심부 : 치수의 주된 신경과 혈관이 존재하는 구역이다.

구성 세포 및 세포간질

① 상아모세포 : 치수에서 가장 뚜렷하고 가장 쉽게 관찰할 수 있는 세포이다. 치수 바깥쪽을 둘러싸는 단일층을 형성하며, 상아질 내부로 연장되는 돌기를 갖는다. 세포의 모양은 치관(치아의 머리) 부위에서는 원주형, 치수의 중간 부위에서는 입방형이며, 치근단(齒根端)에서는 납작한 형태를 갖는다.
② 섬유모세포 : 치수를 구성하는 세포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며, 치관 부위에서 세포밀집대를 형성한다. 세포간질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③ 미분화 간엽세포 : 치수를 구성하는 결합조직 세포들이 기원하는 세포 집단을 말한다. 자극에 따라 상아모세포, 섬유모세포, 대식세포 등으로 분화할 수 있다. 세포밀집대 및 치수 심부 전반에 걸쳐 존재한다.
④ 기타 세포 : 신경 및 혈관을 구성하는 세포와 대식세포 및 림프구가 분포한다.
⑤ 세포간질 : 주로 제1형 및 제3형 교원섬유가 발견된다.

기능

① 형성 : 상아모세포에 의해 일차 및 이차 상아질을 형성한다.
② 영양 : 혈류 공급을 통해, 상아모세포와 상아질 내부로 연장된 상아모세포의 돌기에 영양과 수분을 공급한다.
③ 감각 : 감각신경섬유에 의해 통증을 전달한다. 상아질에 존재하는 감각수용기는 모든 자극에 대해 동통으로 반응하며, 열, 촉감, 압력 자극을 구별하지 못 한다. 운동신경섬유는 치수의 혈류 공급 조절을 위해 혈관 근육 반사에 관여한다.
④ 방어 및 보호 : 건강한 치수의 경우 외부에서 들어오는 자극원들이 치수에 축적되지 않도록 치아 밖으로 배출하는 보호기전을 갖고 있다. 이는 혈류 순환이 원활할 때에만 가능하며, 자극원들의 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결국 치수괴사가 진행될 수 있다.

치수 본문 이미지 1
치근치관치경(잇몸)시멘트질치조골치근관(근관)치주인대잇몸치수상아질에나멜

역참조항목

치수충혈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