첼로

첼로

[ cello ]

요약 유럽에서 발생한 예술음악용의 저음찰현악기.
첼로

첼로

소리듣기
유럽에서 발생한 예술음악용의 저음발현악기. 비올론첼로(violoncello)의 약칭으로 바이올린 ·비올라 ·콘트라베이스와 함께 바이올린족에 속한다.

비올론첼로(violoncello)의 약칭으로 바이올린·비올라·콘트라베이스와 함께 바이올린족에 속한다. 음질은 힘차고 영상적이며 음량도 풍부하다. 합주에서 저역(底域)을 담당하며 실내악이나 오케스트라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 바이올린만큼의 풍부한 곡목수는 없으나 독주악기로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모양이나 구조는 기본적으로는 바이올린과 같으나 길이는 약 2배 가량 된다. 연주자는 의자에 앉아서 악기를 바닥에 세우고 연주하기 때문에 통으로부터 나무나 금속으로 만든 각봉(脚棒)을 끌어내서 악기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구가 있다. 연주법에서 특징적인 것은 왼손 엄지손가락의 조작으로 프라조레트를 연주하기도 하고, 엄지손가락을 지판(指板) 위에 얹어 왼손을 고정시키고, 다른 네 손가락으로 브리지에 가까운 고역(高域) 포지션까지의 연주가 가능하여 이것이 첼로에 독특한 음악적 효과를 이루고 있다.

15세기 후반에 그 당시에 이미 있었던 비올족의 저음악기로부터 발전된 악기로 여겨지며 최초의 첼로는 16세기 초에 나폴리의 가스파로 다 사로에 의해서 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는 비올라 다 감바와 마찬가지 연주자세로 두 무릎에 악기를 끼워 고정시켰다. 각봉으로 바닥에 세우는 것이 보급된 것은 19세기 후반으로, 그 때까지는 대(臺) 위에 놓고 연주하였다.

이탈리아의 도메니코 가브리엘리가 첼로를 위한 리체르카르와 소나타를 작곡한 것이 최초의 독주곡이며 그 무렵부터 독주악기로서의 발전이 시작되었다. 그 때까지는 단순히 저음용 반주악기로서 감바와 함께 사용되었다. 18세기 중엽에 이탈리아의 프란치세로에 의해서 엄지손가락을 지판 위에서 사용하는 연주법이 개발되어 고역(高域)의 연주가 매우 자유스럽게 되고 첼로 본연의 특색이 발휘되어 점차 감바를 압도하여 주요한 악기가 되었다.

하이든 무렵에 이르러서는 현악4중주양식의 확립과 함께 그 지위는 확고한 것이 되었다. 주요 작곡가들이 이 악기를 위한 독주곡을 작곡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J.S.바흐의 모음곡, 베토벤의 소나타와 비발디, 드보르자크, 하탸투랸, 카발렙프스키의 협주곡 등은 유명하다. 그리고 무반주소품이나 이 악기를 위해 편곡된 소품 등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