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음각국화당초문 완

청자 음각국화당초문 완

[ Celadon Bowl with Incised Chrysanthemum and Scroll Design , 靑磁 陰刻菊花唐草文 碗 ]

요약 고려시대의 청자 대접. 1990년 5월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청자 음각국화당초문 완

청자 음각국화당초문 완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90년 5월21일
소장 삼성미술관 리움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
시대 고려
종류/분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
크기 높이 5.9cm, 입지름 17.5cm, 밑지름 4.8cm

1990년 5월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5.9cm, 입지름 17.5cm, 밑지름 4.8cm이다. 

구부(口部)가 외반(外反)되어 벌어지고 측면이 약간 곡면을 이룬 대접으로, 굽다리는 낮고 넓은 햇무리[日暈]굽을 이루고 있다. 외면에는 무늬가 없고, 내면에는 내저 중심에 작은 내저원각(內底圓刻)이 있고, 내측면에는 가는 음각선으로 국당초(菊唐草)무늬가 새겨져 있다. 유색은 연한 청자유로 회백색이 비치며 투명하고 빙렬(氷裂)이 있다. 굽바닥에는 회백색의 내화토(耐火土) 받침으로 받쳐 구운 흔적이 4곳에 남아 있다. 이와 같은 음각국당초문대접 중에서도 굽다리가 햇무리굽을 이루고 있는 유일한 예로 주목되는 작품이다.

제작시기는 11세기 말∼12세기 초의 작품으로,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大口面) 일대의 가마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이미지

청자 음각국화당초문 완

청자 음각국화당초문 완 ※ 본 저작물은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로, 해당 저작물은 문화재청 홈페이지(http://www.heritage.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출처: 문화재청